본문 바로가기

Food

(46)
꿀과 코티지 치즈 고양이 맡기고 간 윗층 여인이 오레가노와 함께 키프로스에서 사다준 것. 양과 젖소와 염소의 젖으로 만들어진 코티지 치즈. 헉. 너무 맛있다. 리투아니아에서 사먹는 것은 아무리 압축된 것이어도 소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마련인데 이 코티지 치즈는 손가락 사이에서 뽀드득거리는 전분처럼 수분 제로의 짱짱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서 자연스레 꺼내는 것은 꿀. 정말 자동적으로 이제 꿀에 손이 간다. 리투아니아 꿀집에서 꿀을 사거나 양봉을 하는 사람들 (친구의 친구의 친구들중에는 숲속에서 생활하며 소규모 양봉도 하는 삼촌을 가진 이들이 꼭 한 두명씩 있게 마련이다.) 에게서 꿀을 얻어 먹으면 보통 저런 플라스틱 용기에 꿀을 담아 준다.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오이에도 가끔 저 꿀을 찍어 먹는데 정말 맛있는것은 ..
Roman Saltimbocca 요리책 속에 많은 요리가 있는데 보통은 사진이 있는 요리를 먼저 해보게 된다. 그 다음에는 물론 요리 시간이 짧은 것, 재료를 쉽게 구할 수 있는 것 순으로 진행되는데 가장 좋은 것은 요리 시간도 짧고 사진도 있는 그런 요리들이다. 그런 요리들은 또 맛있다. 재료 그 자체의 맛만 필요한 경우가 많으니깐. 반죽을 얼마나 잘하느냐 얼마나 제대로 숙성하고 온도 조절을 잘해서 구워내느냐 하는 것들이 맛에 영향을 미칠 시간이 비집고 들어갈 틈도 없는 요리들이다. 물론 오랜 시간을 공들여서 요리하고 싶은 날이 드물게나마 있긴 하지만 보통은 간단한 요리들이 항상 더 맛있다. 이 요리는 20분이라는 요리 시간에 혹해서 했던 요리. 재료 준비를 잘못하는 바람에 그 보다는 시간이 더 오래 걸렸지만 정말 금세 어렵지 않게 ..
빨간 양파와 피스타치오 그냥 보고 있으면 예쁜, 그런 정물화 같은 식재료들이 있다. 예를들면 약간의 물기가 흩뿌려진 푸릇푸릇한 아스파라거스나 우둘투둘 검버섯이 피어서는 속은 한없이 부드럽고 고소한 아보카도 같은 아이들, 저기 멀고 먼 페루나 볼리비아 어디쯤에서부터 약에 절어서는 수일이 걸려 이곳에 도착한 아이들이겠지만 가끔씩 집에 데려오게 되는 것이다. 빨간 양파 같은 경우는 보통은 푸석푸석한 검붉은 자주색 껍질에 휘감겨져 있어서 야채 코너의 채도를 떨어뜨리는 주범이기도 하지만 군데 군데 벗겨진 껍질 위로 마트 조명이 내려 앉으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빛나는 자줏빛을 꺼내 보인다 . 아무런 세공도 거치지 않은 이 야채 코너의 자수정을 보통은 하나씩만 사다 놓고 드레싱에 잘게 썰어 집어 넣거나 그냥 샐러드에 넣어 먹거나 그렇게 ..
빌니우스 마트의 생강청 리투아니아에서도 감기 걸릴 기미가 보이면 생강차를 끓여마시는 사람들이 있다. 보통은 그냥 생강을 얇게 썰어서 꿀과 레몬과 함께 타 먹는 식이다. 리투아니아 음식에 생강이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경우는 없다고 해도 좋지만 생강과 시나몬 향이 진하게 밴 크리스마스 쿠키는 익숙한 음식이다. 반죽을 얇게 밀어서 크리스마스 트리나 동물 모양처럼 만들어 굽는다. 따뜻한 크리스마스 와인과 먹으면 맛있다. 마트에 생강이 거의 항상 있지만 항상 쓸만한 생강인것은 아니다. 구부려뜨려보면 별 저항없이 구부러진다던가 심하게 상해있던가 바싹 말라있다던가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요새는 그래도 단단하고 건강하게 생긴 적당히 수분이 함유된 괜찮은 생강들을 발견할 수 있다. 아주 오래전에 한번은 생강차를 담궈보겠다고 했다가 설탕을 아낀건지..
리투아니아의 코티지 치즈 디저트 내가 이곳에 살지 않는다면 난 분명 이 디저트를 그리워하게 될거다. 최소한 뭘 그리워하게 될 지 정도는 알아야 한다. 그것이 지금 뭔가를 그리워하는 것 만큼 중요할 때가 있다. 오래도록 먹지 않으면 항상 생각나서 사먹게 되는 식품중의 하나인 리투아니아의 코티지 치즈 디저트. 코티지 치즈는 콩으로 만든 두부만큼이나 단백질 함량이 높다. 그래서 살을 빼려는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저지방 코티지 치즈를 먹는 경우가 많다. 일반 코티지 치즈는 지방함량이 0.5%, 2%, 9% 이렇게 여러 종류가 있는데 밀가루와 반죽해서 수제비처럼 만들어 먹을 수 있을 정도로 질감이 거칠다. 이 디저트는 그것보다는 수분함량이 훨씬 많고 바스러져서 알갱이화(Grūdėta) 되어 있는 짭쪼롬하고 고소한 간식거리이다. 위에서보면 그냥 이..
리몬첼로맛 디저트 마트의 유제품 코너에 있던 이 디저트. 늘상 존재하고 있었던것들도 딱 두개만 남았거나 주변의 다른 물건들은 텅텅 비었는데 그들은 수북히 쌓여있거나 할때 유난히 눈에 들어온다. 이것은 지난번에 커피와 함께 먹었던 초콜릿 피스타치오와 한쌍이다. (http://ashland.tistory.com/606) 성분을 보려고 집었들었는데 플라스틱 용기가 아니라 묵직한 유리 용기였다. 별다른 굴곡없는 심플한 유리 용기에 앞으로도 소스든 젤리든 아이스크림든 담아 먹을 수 있을것 같아서 마음에 들었다. 물론 가장 눈길을 끈 것은 포장지에 쓰여진 리몬첼로라는 단어였다. 나는 맛이 없어도 상관없다 라는 생각을 했다. 나에겐 이미 리몬첼로에 관한 몹시 '프리미엄' 스러운 기억이 있는것이다. 프리미엄이라고 우쭐해있는 이 디저트가..
살구 자두 하이브리드 마트에 새로 등장하는 과일이나 식품들은 보통은 비싸다. 하지만 할인 스티커가 붙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다시 등장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마트의 판촉 상품으로 등장하는 그들은 그런데 보통은 또 매력적이다. 12색 기본 물감 팔레트에는 없지만 36가지 색 크레파스에는 고고하게 꽂혀있는 그런 색다른 빛깔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것은 어쩌면 새로운 것 그리고 다른 것보다 조금 값비싼것들에 으례 덧씌워진 환상이나 허황같은것일 수도 있다. 그것은 수입 담당 직원에게 가해진 끼워팔기의 강매였을수도 있고 다 식은 커피와 함께 유통기한이 지난 마트의 도넛을 먹으며 식품 카탈로그를 보다 혹해서 주문 버튼을 눌러버린 그의 모험일 수도 있다. 설사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아 할인의 할인을 거듭한 딱지가 덕지덕지 붙여진다..
바나나 코코넛 아이스크림 며칠전 놀이터에서 여름을 맞이하여 친정으로 휴가를 온 리투아니아 여인을 알게됐다. 그녀는 일본인 남편과의 사이에서 딸을 낳고 도쿄에 거주중이다. 런던에서 그리고 도쿄에서 워낙에 긴 시간을 살아서 리투아니아어가 조곤조곤 어눌했던 짧은 머리의 그녀는 채식주의자라고 했다. 그래서 18개월이 된 딸 아이도 아직 고기를 먹어본 적이 없다고. 과격한 성향의 정치적 이념으로 남에게 피해를 주는게 아니라면 난 사람들이 자기 원칙을 고수하고 당당하게 생각하는것에 흐뭇함을 느낀다. 그것은 그 원칙들이 가져오는 부작용들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부정하고 제 잘난멋에 고집을 부리는것이라기보다는 그 부정적 이면까지 감수하고 지켜나가고 싶은 그들 삶의 원칙과도 같은것일거다. 그런 그녀가 알려준 아이스크림이 바로 바나나 코코넛 아이스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