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od (45) 썸네일형 리스트형 파스타 기록 9월에 먹고 남겨두었던 체코식 절인 치즈 (https://ashland.tistory.com/1197)를 마저 꺼내 먹었다. 병에서 치즈를 꺼내고 토마토와 셀러리, 껍질을 벗기지 않은 마늘도 통째로 추가하여 오븐에 넣는다. 잘 으깨준다. 맥주 안주로 즐겨 먹는다는 이 체코 치즈 자체가 맛이 강한데 굳이 냉장고에 있던 고약한 하드 치즈도 꺼내서 갈아서 옆에 놔둔다. 약간 콩비지 찌개 같다. 딱히 좋은 비주얼은 아니지만 소스로는 훌륭하다. 방망이로 누르면 마늘들이 부드럽게 껍질에서 쫙 빠져나올 때의 특유의 느낌이 좋다. 뭉그러진 치즈 양념을 면에 부어서 섞고 갈아 둔 치즈를 뿌리고 파슬리를 뿌린다. 파슬리를 빨리 먹어 치워야 하므로 어디든 아낌없이 뿌린다. 사실 이 파스타도 파슬리를 뿌리기 위해 생각해 낸 .. 파슬리 버터 파슬리는 리투아니아어로 페트라죨레 Petražolė 라고 한다. 마트에 파는 허브들은 아예 조그만 화분에 심어져 있거나 25그램 정도로 포장이 돼있어서 이렇게 많이 살 이유도 살 수도 없는데 갑자기 집에 파슬리가 다발채로 생긴 것은 식당의 주방 직원이 고수와 파슬리를 혼동했는지 고수 대신 별안간 파슬리 2킬로그램이 배달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필요한 사람끼리 나눠가졌다. 여러 허브들 사이에서 그나마 고수와 파슬리가 닮은 구석이 있긴 하지만 파슬리 잎사귀가 좀 더 조화처럼 빤짝거리고 굵고 억세다. 우리는 멋쩍어하는 동료를 한껏 위로했다. 고수 대신 파슬리를 뿌렸어도 심지어 맛을 보고도 모를 손님도 분명 많았을 거라고. 그래서 우선 파슬리 버터를 만들기로 했다. 리투아니아에서는 파슬리를 차로도 곧 잘 끓여 .. 체코식 절인 치즈 Nakládaný hermelín 마트에 또 금방 없어질 포스로 진열이 되어있길래 먹어본 적 없는 음식이라 호기심에 집어온 체코식 절인 치즈. 딱 보니 먹다가 남는 브리 치즈나 까망베르 이런 걸 양념에 섞고 그냥 기름에 담금질해서 놔두면 유용하겠다 싶어 맛보고 배워보려고 샀다. 체코 펍에 가면 쉽게 볼 수 있는 안주라고 한다. Hermelin 은 거의 까망베르에 가까운 체코 치즈. 맵다고 써있고 통고추도 들어가 있고 파프리카 가루에 빨갛게 물들어 있는 기름이지만 사실 이런 것들은 대부분 전혀 맵지 않다. 약간 후각을 자극하는 달콤한 매움 정도이지 고추 조차도 별로 맵지 않음. 저런 기름은 나중에 어디든 쓰이기 때문에 치즈를 어떻게 상처 내지 않고 잘 꺼낼지 생각했다. 이런 볼록한 병은 보관하기는 힘들지만 뭐든 나중에 담으면 예쁘다. 가장.. 케피르 우유 2리터를 주문했는데 우유 대신 케피르 2리터가 배달되었다. 너무하다고 생각하며 주문 목록을 보니 절망적인 것은 내가 내 손으로 케피르를 주문한 게 맞다. 그런데 며칠 후 또 우유를 주문하려고 보니 우유 페이지의 첫 상품에 동일한 케피르 사진이 또 올라와있었다. 그러니 그것은 쌍방과실로 인한 케피르 폭탄이었음을. 우유와 케피르의 경우 회사가 같으면 제품 디자인이 거의 같고 품명만 달리 표기하기 때문에 혼동해서 잘못 사 오는 경우가 종종 있다. 케피르는 정말 마시고 싶을 때 계획하고 사서 마셔야 상하기 전에 다 마시곤 하는데 계획에도 없이 2리터가 생겼으니 어쩔 수 없이 틈날 때마다 마셨다.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방법이라면 요거트 대용으로 시리얼 같은 것을 넣어 먹는 것인데 떠먹기엔 너무 묽으니 거의 .. 콤포트 콤포트는 리투아니아에서는 남성어미 붙여서 콤포타스라고 부른다. 보통 학교 식당이나 아주 전형적인 리투아니아 음식을 파는 식당의 카운터 근처에 이렇게 놓여있다. 이들은 항상 이렇게 놓여있다. 채도도 항상 비슷하다. 이들은 더 진해서도 더 큰 잔에 담겨서도 안된다. 이들에게 많은 것을 기대할 수 없기때문에 실망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캅카스의 사카르트벨로 요즘 마트에 뼈대가 보이는 비교적 매끈하고 친절하게 생긴 등갈비가 팔기 시작해서 한번 사 와봤다. 친절한 등갈비는 오래 삶아서 그냥 소스를 발라 구워 먹었고 다음날 냄비에 남은 육수를 보니 본능적으로 쌀국수가 생각이 나서 팔각과 카다멈, 시나몬 스틱 등의 향신료의 왕족들을 살포시 넣으니 은근슬쩍 쌀국수 육수가 만들어졌다. 쌀국수에 몇 방울 간절히 떨어뜨리고 싶었던 스리라차 같은 소스가 없어서 뭘 넣을까 하다가 조지아 그러니깐 그루지야 그러니깐 사카르트벨로의 양념장인 아지카를 꺼내서 대충 피시소스와 섞어서 함께 먹었다. 아지카라는 이 이름부터 캅카스적인 소스는 빌니우스를 처음 여행하던 시기에 처음 알고 즐겨 먹게 되었는데 캅카스식 뻴메니나 샤슬릭 같은 것과 주로 먹지만 때에 따라서는 고추장처럼 사용하게도 .. 파프리카 마트의 파프리카가 유독 눈에 밟히는 날에는 집에 데려와서 포크로 군데군데 구멍을 뚫고 오븐에 한 시간 정도 그냥 넣어두고 잊는다. 껍질은 아주 쉽게 벗겨지고 칼로 자를 것도 없이 손으로 주욱주욱 찢어진다. 그러면 이들은 흡사 황도 같은 모습이 된다. 소금과 후추를 뿌리고 마늘을 얇게 썰어 곳곳에 집어넣고 올리브 오일을 가득 부어서 놔둔다. 바질, 케이퍼 같은 것을 추가로 넣어도 된다. 가지도 토마토도 같은 방식으로 잠수시킬 수 있다. 맛이 들었다 싶으면 병에 넣어서 냉장고로 가져간다. 때로는 올리브나 앤초비 같은 다소 강한 맛의 아이들을 넣고 전부 휘 갈아서 빵에 발라 먹던가 파스타에 섞어 먹어도 된다. 항상 이걸 만들고 나면 어느 집에서 굴라쉬를 한 솥 끓였나 싶을 정도로 온 계단이 파프리카 냄새로 가.. 감자전과 끄바스 어제 날씨가 참 좋았다. 트라카이에 갔다. 빌니우스에서 트라카이까지는 30분 정도로 크게 멀지 않다. 트라카이에 도착하자마자 아침 겸 점심으로 먹은 감자전. 좀 더 널리 알려진 러시아식으로 말하면 끄바스, 리투아니아어로는 기라 Gira 라고 불리우는 음료도 함께 주문했다. 흑빵을 발효시켜 만든 무알콜 음료이지만 때에 따라서는 1.5프로 정도의 알콜을 포함하기도 하는데 식당에서 직접 제조했다는 이 기라는 날이 더워서 그랬는지 알콜이 조금 섞여 있었던 것인지 조금 빨갛게 올라오며 약간 취하는 느낌이 들었다. 도톰한 감자전 속에는 고기가 들어있고 기름에 볶은 돼지 비계와 딜을 흩뿌린 사우어크림이 양념으로 올라온다. 트라카이가 휴양지이긴 하지만 빌니우스도 사실 관광지이기때문에 식당에서 이런 음식을 먹으면 산이나..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