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lm

(188)
A Seperation (2011) 셀린송의 는 하염없이 올라가는 클로징 크레딧 뒤로 결혼 증명서를 받기 위해 들뜬 표정으로 오가는 사람들을 비추며 끝난다 아스가르 파르하디의 다섯 번째 영화 은 똑같은 앵글에서 이혼 엔딩을 보여준다. 이혼 후에 엄마와 아빠 중 누구와 살 것인가 결정해야 하는 딸을 담당 직원 앞에 남겨두고 나온 부부가 반대편에 따로 떨어져 앉아있는 장면을 보여주며 끝이 난다. 한 발자국 정도 차이를 두고 앉아 수만 가지 생각을 했을 그들 사이로 어쩌면 비슷한 이유로 그곳을 찾았을 사람들이 쉼 없이 지나가며 역시 크레딧이 올라간다. 같은 감독의 영화라고 해도 속았을 비슷한 풍경이었지만 그 풍경의 내용은 사뭇 다르다. 부부 갈등이라는 소재만 놓고 보면 감독의 다른 영화 https://ashland.tistory.com/..
About Elly (2009) 아스가르 파르하디의 네 번째 영화. 배경도 줄거리도 가장 단순하지만 끝날 때까지 기가 막힌 긴장감을 유지한다. 결론은 이미 난 것 같은데 알려주지 않으려고 밍그적거리는 부분에서 무한한 짜증을 유발하지만 그것은 결국 이 사건을 이해하는 결정적인 원인이 얼마나 터무니없고 시대착오적인지를 보여주기 위한 장치임을 알게 된다. 포스터 속의 배우 골쉬프테 파라하니(Golshifte Farahani)는 짐 자무쉬의 에서 아담 드라이버의 상대역으로 인상적으로 나온다. 언어와 복장 때문인지 같은 배우인 게 믿기 힘들 만큼 다르다. 보통 저런 제목과 포스터 전면에 배우가 등장하면 저 여성이 엘리일 것이라 단순하게 생각하게 되는데 이 여인은 엘리가 아닌 세피데이다. 세피데의 미간은 할 말이 있는 듯 억울해 보이고 모래사장이..
Fireworks Wednesday (2006) 아스가르 파르하디의 세 번째 작품. 이 감독의 영화는 보는 동안 늘 답답하고 불안한 마음에 빨리 좀 끝났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다가도 이대로 끝나면 주인공들이 너무 억울하다는 생각에 계속 남은 시간을 확인하게 된다. 하지만 초기작에서 돈문제까지 얽혀서 대안 없는 사람들이 겪는 불행을 주로 얘기했다면 이 영화를 기점으로 상대적으로 여유로워진 중산층의 이야기로 넘어간다. 그래서인지 보는 동안의 막막함은 좀 덜하다. 물론 그 계층간의 거리감이 직접적이진 않지만 은근히 드러나기도 한다. 가정문제, 사회적 지위와 체면 때문이 개인이 겪는 갈등을 본격적으로 다루는데 아주 단순한 사건처럼 보이지만 당사자 외의 주변인들을 끊임없이 끌어들이면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계속 궁금하게 만들면서 영화가 진행되니 등장하는 사람들..
Beautiful city (2004) 아스가르 파르하디 감독의 두 번째 작품. 첫 작품의 느낌상 왠지 이 제목이 미심쩍고 간혹 원제가 정말 뚱딴지같은 경우도 자주 있으니 찾아봤더니 실제 '아름다운 도시'라는 뜻을 가진 테헤란 근교의 '샤흐레 지바'라는 동네라고 한다.샤흐레 지바의 소년원에 수감 중인 아크바르는 16살에 여자친구를 살해한 죄로 소년원에 들어왔다. 다른 남자와 결혼해야 하는 여자친구를 죽이고 자신도 자살하려 했지만 그러지 못했다. 하지만 이란에서 사형집행이 가능한 나이는 18살. 교도소 친구 알라(Babak Ansari)는 그것도 모르고 아크바르의 18살 생일 이벤트를 열고 아크바르는 성인 교도소로 옮겨진다. 아크바르는 영화 초반 소년원씬을 제외하고는 더 이상 등장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생긴 모든 문제들은 교도소 밖의 사람들에..
Dancing in the Dust (2003) 아스가르 파르하디의 데뷔작을 보았다. 이분은 티브이 드라마나 영화 각본을 쓰다가 감독 데뷔를 한 경우인데 이 데뷔작과 다음 해에 만든 두 영화가 다른 영화들에 비해 확실히 좀 더 날것의 저예산 느낌이다. 악어,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박하사탕, 똥파리 같은 한국 감독들의 데뷔작을 봤을 때 느낌이랑 비슷했다. 그의 최근 영화들이 더 재밌고 절묘하고 볼거리도 많지만 그런 영화는 감독이 앞으로도 계속 만들어낼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그가 이런 초기작의 느낌을 다시 구현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64색 물감을 쓰던 사람에게 갑자기 8색 크레파스를 쓰라고 하면 좀 당황스러워할 것 같고 봉준호 감독에게 플란다스의 개 같은 영화를 다시 만들어달라고 애원하면 난처해할 것 같다. 나자르(Yousef Khadopa..
Nightbitch (2024) https://ashland.tistory.com/m/870 와 https://ashland.tistory.com/882 를 만든 마리엘 헬러의 신작 를 보았다. 전작의 캐릭터들이 좋았기 때문에 은근한 맑눈광 에이미 아담스에게도 감독이 드디어 인생 캐릭터를 만들어주려나 조금 기대하며 보았다. 에이미 아담스는 엄마로 나온다. 극 중 이름은 따로 없다. 에이미아담스의 아이는 너무 어리고 귀엽지만 엄마는 잠도 직업도 자기 시간도 남편도 몽땅 빼앗긴다. 엄마는 매일 아침 냉동 해시 포테이토를 튀기며 내일이면 또 오고 마는 어제와 똑같은 오늘의 아침을 시작한다. 동네 문화센터에도 열심히 가고 공원에서도 잘 놀아주고 온 사방에 물감을 묻히는 물감 놀이도 열심히 해주고 아이가 잠을 죽어라 자지 않아도 절대 버럭..
Sons (2024) 영화 포스터에 혹해서 보게 된 덴마크 영화 . 이 영화의 포스터 구성이 묘하게 영국 드라마 과 비슷하다. 그리고 13살 소년 제이미의 미래를 그려보는 순간 속 미켈의 모습이 겹쳐지며 조금 암담했다. 포스터만 봐도 두 작품 속의 긴장감이 고스란히 전달된다. 포커싱 된 표정과 흐릿한 표정을 보며 가해자와 피해자의 가족들이 직면하는 각기 다른 고통에 대해 생각해 본다. 영화는 교도관으로 일하고 있는 덴마크 여성 에바(Sidse Badett Knudsen)의 이야기이다. 에바의 직장에는 둔중한 감방문이 열리고 닫히는 소리, 식판이 놓이고 수거되는 소리, 수갑이 채워지고 풀리는 강제적이고 일방적인 소리만이 가득하다. 모든 것이 매뉴얼대로 오고 간다. 따스한 대화도 가벼운 농담도 존재하지 않는다. 설사 있다고 ..
라 코치나 (La Cocina, 2024) 노천 테이블들이 놓이는 여름 시즌, 빌니우스 구시가를 걷다 보면 식당에서 흘러나오는 특유의 기름 냄새가 있다. 튀김기에서 갓 건져진 냉동 너겟, 오징어링, 버펄로 윙, 감자튀김 같은 것들이 기름을 떨쳐내며 퍼뜨리는 냄새, 햄버거에도 스테이크에도 아동 메뉴에도 립에도 어디에도 곁들이는 것들, 어떤 인종도 어떤 성격의 손님도 전부 만족시킬 수 있을 것 같은 평균적이고 광범위한 메뉴, 고급 레스토랑과 비교하면 더없이 저렴하지만 패스트푸드나 일반 식당보다 월등이 맛있지도 않으면서 결코 싸지 않은 가격의 음식들, 분주하게 걸어 다니는 능숙한 서빙 스탭들로 가득한 그런 식당들이 있다. 영화는 뉴욕 타임 스퀘어 근처에 위치한 딱 그런 분위기의 거대한 레스토랑이 배경이다. 주고객은 뉴욕을 방문하는 관광객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