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백영화 (4) 썸네일형 리스트형 소 (The cow, 1969) - 가장 소중한 것과 함께 소멸하기 안드레아 아놀드 감독의 다큐영화 를 찾다가 우연히 다리우스 메흐르지 감독의 이란 영화 를 보게 되었다. 이렇게 뜬금없이 보게 되는 옛날 흑백영화들은 대부분 좋은 영화다. 수십 년이 흘러서도 리마스터링 되고 회고되는 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 거다. 는 다리우스 메흐르지 감독이 서른살에 만든 두 번째 영화이다. 미국 유학 후 돌아와서 만든 제임스 본드 컨셉의 첫 상업영화가 실패한 후 만들어진 초기 대표작이고 이 영화를 이란 뉴웨이브의 시작이라고 본단다. 내가 극장에서 보는 행운을 누렸던 이나 같은 이란 영화가 웰메이드 제3세계 영화로 알려지기 훨씬 이전의 영화이다. 역시 뉴웨이브가 있어야 황금기도 있는 건가 보다. 조용한 이란의 시골 마을. 남성 한명이 소를 몰고 허허벌판을 지나간다. 웅덩이에.. Frances Ha_Noah Baumbach (2013) 올리비아 아사야스의 크라이테리온 베스트 목록 (올리비아 아사야스 크라이테리온 베스트) 을 통해 알게 된 영화. 2013년 영화인데 크라이테리온에서 출시 되었다는게 신기하기도 했고 흑백으로 촬영되었고 무엇보다도 흑백과 핑크가 절묘하게 조화된 음악적인 영화 포스터가 Smith 의 베스트 앨범 자켓을 떠올리게 했다. (포스터 속의 프랜시스가 지휘를 하고 있다고 생각했으나 알고보니 춤을 추고 있는것이었음) 오아시스가 영향 받은 뮤지션으로 스미스와 스톤 로지즈를 언급한 적이 있기에 수집하기 시작했던 스미스의 앨범들. 이 뜬금없는 흑백 영화가 영화를 채 보기도 전에 나로 하여금 어떤 회상에 젖게 하고 있다는 기분 좋은 예감, 어쩌면 영화를 만든 사람들의 추억도 아낌없이 녹아 있을것 같은 느낌. 요즘이 배경인 영화인.. <소년, 소녀를 만나다 Boy meets girl> Leos Carax (1984) 올해 빌니우스 영화제에서는 레오 까락스 회고전을 통해 다섯편의 그의 영화가 상영되었다. 맨 앞에서 가장 뒷줄의 부스럭거림이 들릴 정도로 작았던 예전의 동숭씨네마텍이나 코아 아트홀의 가장 작은 상영관과 비슷한, 멀티플렉스가 아닌 빌니우스 토종 극장 Skalbija 에서 영어 자막이 담긴 필름에 리투아니아어 자막이 동시에 지나가는 자막 기구와 함께 매우 고요한 가운데 보았다. 이 영화는 동숭씨네마텍이 개관하고 두번째인가 세번째 상영작이었다. 왜인지 꼭 한 번 다시 극장에서 보고 싶었던 이 흑백 영화를 그렇게 우연인듯 필연인듯 다시 보았다. 제목이 너무나 예쁜 영화다. 그대로 번역한 한국어 제목도 그냥 그대로 너무나 아름답다. 동사가 문장에 마지막에 오는 우리말 특성 때문에 생겨난 소년과 소녀사이의 쉼표도 뭔.. <Mala noche> Gus Van Sant (1986) 요새 크라이테리언 수집에 대한 생각을 가끔한다. 발매되는 모든 작품을 가리지 않고 구입하는 열혈 수집광은 절대 될 수도 없거니와 되고 싶지도 않지만 내가 본 영화를 중심으로 좋은 영화를 모으는것을 고려해보니 그것도 꽤 많은 지출이 필요할것 같아서 세분화시킨 구입 기준은 흑백영화 타이틀만 모으거나 감독의 데뷔작만 구입하는것이다. 그것은 아마도 내가 우연히 가지게 된 몇 안되는 타이틀이 전부 흑백이라서 동일성을 부여하고 싶은건지도. 그리고 아무장면에서 멈춰도 항상 포토제닉한 정적인 영상때문인지도 모른다. 하긴 70년대 이전 타이틀이 절대적으로 많은것을 생각하면 타이틀 절반이 흑백영화일지도 모르니 만만치 않은 수집조건일듯. 와 . 크라이테리언 콜렉션에서 발매된 구스 반 산트의 영화 두편이다. 구입한것은 아니지..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