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thuania

[리투아니아생활] 리투아니아의 출산휴가




-출산병원의 병실로부터-



리투아니아의 배우자 출산 휴가에 대해서 얘기했으니 더 중요한 산모에게 주어지는 출산 휴가 (Motinystės atostogos) 에 대해서 얘기해볼까. 나같은 경우에는 임신 중기에 다리가 아파 걷기 불편했던것을 제외하면 출산까지 최상의 컨디션이었고 일하고 있는 식당이 걸어서 20분거리라 매일매일 왔다갔다 운동도 할겸해서 출산 전 주까지 꽉 채워서 일을했다. 만약에 임신 후기를 눈이 내린 추운 겨울에 보냈어야했거나 직장이 멀어서 차를 타고 다녀야 했었거나 오랫동안 서있거나 몸을 사용했어야 하는 일이었다면 과연 그럴 수 있었을까 생각하니 다시 한번 주어졌던 상황에 감사하게 된다. 리투아니아에서 여성에게 주어지는 출산 휴가는 출산 전후로 해서 126일이다. 그래서 임신 30주에 들어서면 담당 의사는 출산 휴가 사용 여부에 대해서 물어보고 출산 휴가를 시작하기 원하는 날짜를 말하면 담당의사는 보험공단에 상태 진단서와 같은 확인서를 전송하게 된다. 126일이면 대략 4달의 기간인데, 30주부터 출산까지 대략 두 달, 출산 후 대략 두 달의 기간으로 보면된다. 그리고 제왕절개와 같은 수술을 통한 분만일 경우, 자연 분만이더라도 의사의 소견으로 출산이 힘들었다고 생각될때, 쌍둥이 이상의 출산이었을경우 126일에서 14일이 추가된 휴가를 쓸 수 있게된다. 하지만 사실 그 난산 Komplikuotas gimdymas 이라는 기준은 매우 애매하다. 나같은 경우도 적절한 시간에 별로 힘들이지 않고 낳았다고 생각했는데 난산으로 분류되서 14일치 금액을 추가로 받았다. 생각지못한 지원금을 받은것은 기쁜일이나 왜 난산이었을까 한참을 생각했다. 이곳의 리투아니아 여자들이 정말 순풍순풍 아이를 낳는건가. 그러고보니 옆방에서 어떤 여자가 엄청난 괴성을 질러 참 요란하게도 애를 낳는구나 했지만 단 두번의 외침 이후 아무소리도 듣지 못했던것 같다. 그에 비하면 나는 꽤나 여러번을 게다가 막판에는 나에게 달려들었던 간호사도 여러명이었으니 어쩌면 쉽지 않은 출산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출산 휴가 역시 최저 144.67 유로에서 최대 1388.73 유로에 한해서 월급의 100%를 지급하는데. 126일이라고 하면 대략 4달간의 월급이 지급되는것. 출산을 하고 나서까지 휴가 신청을 하지 않았다면 절반도 안되는 56일간의 휴가를 신청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 출산 예정일에서 이삼주전에는 휴가 신청을 하는것이 안전하겠다. 그렇다면 금액은 어떻게 계산할까. 바로 최근 2년내에 최소 1년간의 소득을 합산해서 평균 월급을 계산하는데 7월부터 휴가를 쓰려고 한다면 작년 6월부터 올해 5월까지의 월급을 합산해서 12개월로 나눈 평균치를 지불하는것. 출산 휴가를 사용하는것은 리투아니아에서는 당연시하는것이고 오히려 이슈가 되는것은 고용주가 편법을 쓰지 않고 정직하게 소득 신고를 하느냐 하는것이다. 그것이 수령액의 크기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실제 1000유로의 월급을 받지만 고용주가 500유로의 소득신고를 하면 국가로부터 500유로에 해당하는 지원금만 받을것이니 말이다. 물론 직업이 없는 사람들도 편법으로 위장 취업해서 지원금을 받거나 실제 소득보다 불려 신고하여 지원금을 늘리는 수작을 부리는 사람들도 있어 리투아니아 재정에 구멍을 내는 경우도 있다. 그 지원금의 규모와 소득 수준은 북유럽에 비해 정말 현저히 낮지만 유럽의 선진국에 준하는 복지 정책을 펴려 부단히 애쓰는 리투아니아이다. 부가가치세 21%, 한명의 직원을 위해 고용주가 지불해야하는 세금만해도 소득세 15%에 건강 보험료 39.98%. 한마디로 1000유로의 월급에서 고용주에게 발생하는 세금이 500유로 이상이니 리투아니아에서 정직한 고용주가 되는것도 쉬운일은 아니다. 어떤 경우에는 고용주와 직원의 합의하에 소득을 적게 신고하고 국가에 내야 할 세금을 월급의 일부로 블랙머니로 지불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한다. 그래서 정책은 북유럽 세급 납부 수준은 리투아니아라는 자조섞인 농담이 나오는것. 아무쪼록 리투아니아의 건강하고 부유한 미래를 위해 적든 많든 모두가 정직하게 세금을 납부하고 세금 수령에 게으름 피우지 않는 정부가 되길 바랄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