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in

(32)
스페인 1유로 동전 스페인 1유로와 2유로에 나란히 모습을 드러낸 이분. 에스파냐라고 써있어서 물론 그랬기도 했지만 보자마자 스페인 국왕이란것을 알아차릴 수 있었다. 1992년 맨처음봤던 그때부터 여전히 같은 헤어스타일을 고수하고 계신 이분. 후안 카를로스 1세 스페인 전 국왕이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때 여갑순 선수의 사격 경기에서인지 아니면 시상식에서인지 카메라가 이분을 비췄더랬다. 아니 혹시 시상을 했었나? 아마도 사격경기가 올림픽의 맨 첫 경기이기도 했고 직접 경기를 관전해서인지 캐스터가 스페인 국왕이라고 말했던게 기억이 난다. 아니면 시상을 이분의 아들인 현 국왕이 했었던듯도. 후안 카를로스 1세. 스페인 독재자 프랑코의 후계자로 지정되어 프랑코 사후 스페인을 책임졌지만 독재가 아닌 민주화로 스페인을 이끌었..
그리스 20센트 유로 동전 동전속의 이 아저씨 어제 본 미드 시즌 2, 첫번째 에피소드에서 눈 빠진째 살해된 그 아저씨를 닮았군. 서로 관련없는 세 주인공들의 이야기들로 뭔가 산만하게 진행된다 싶어 약간 실망하려던 차에 시체가 발견되자 호출된 이들, 각기 다른 부처의 주인공들이 운명처럼 만난다. 알고보니 동전속의 그는 그리스인 이오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집안에 그리스와 관련된 무엇이 있을까 생각하다 냉장고 속에 반쯤 먹다남은 그릭 요거트가 떠올랐다 ㅋㅋ. 그리스산 페타 치즈라도 있었으면 좋았을걸 알고보니 이 요거트는 리투아니아 현지에 서 생산된 국산 제품. 이 기회에 그리스인 조르바 같은 소설이나 다운받아서 읽어봐야할까. 이제 그리스하면 그렉싯이라는 단어가 먼저 떠올라 애석하지만 말이다. 그리스인들이 동전에도 새겨넣을만큼 중요한..
프랑스 2센트 유로 동전 파리 여행중에 우리집으로 보낸 엽서. 보통 여행중에 집으로 엽서를 보내면 같은 유럽인 경우 여행을 하고 돌아오면 이미 엽서가 도착해있기 마련인데 그해엔 돌아와서도 꽤나 오래기다렸던듯 하다. 파리에는 유명한 관광지도 많고 명화들로 가득한 루브르와 오르세 미술관 덕에 엽서의 선택폭이 지금까지 여행했던 그 어떤 나라보다 넓었다. 엽서를 쓰는 즐거움은 그 나라 우표를 구경하는 즐거움도 준다. 누군가가 여행중에 나에게 편지를 보내오지 않는다면 왠만해선 구경하기 힘든 우표들. 집으로 보내지 않았더라면 지금 이순간 떠올릴 수 없었던 프랑스 우표속의 마리안과 프랑스 2센트 유로 동전속의 마리안. 프랑스가 추구하는 자유 평등 박애라는 가치를 구현하는 상징으로 여겨지는 마리안. 동전속의 마리안과 우표속의 마리안은 사실 동..
이탈리아 10센트 유로동전 동전이 놓여진 그림은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에서 사온 엽서인데 바로 보티첼리의
독일 10센트 유로 동전 독일의 10센트,20센트,50센트 동전에서 만날 수 있는 브란덴부르크 게이트. 잠깐 베를린을 여행했던때를 떠올려보자면 가족 여행자들과 학생 단체들로 꽉 들어찬 유스호스텔에서 아침 일찍부터 로비에서 열다섯명정도씩 그룹을 만들어 공짜 일일 투어를 해주었다. 유치원생들처럼 함께 지하철 티켓을 사고 첫코스인 브란덴부르크 게이트에 도착해서는 베를린 장벽까지 반나절정도 가이드를 해주는데. 그 장대했던 브란덴부르크 앞에서 가이드가 했던 얘기중 가장 선명하게 기억나는것은 우습지만 마이클 잭슨이 머물렀다는 호텔에 대한 얘기. 가슴에 품은 아기를 창밖으로 꺼내보이는듯한 시늉을 해서 여론의 뭇매를 맞았던 불쌍한 잭슨이 머물었던 그 호텔이 이 게이트의 근처에 있다. 네마리의 말이 이끄는 마차, 콰드리가가 놓여진 상판을 여러개..
이탈리아 1유로 동전 1유로로 할 수 있는게 뭐가 있을까. 오늘먹은 크루아상 한개. 이탈리아에서는 에스프레소 한잔에 보통 1유로였다. 1유로를 환전하면 한국에서 삼각김밥이나 던킨 도너츠 한 조각은 먹을 수 있을까? 김떡순 포장마차에서 어묵 한꼬치 먹을 수 있는 돈인가? 아무튼 같은 유럽에서도 최저임금이 1000유로인 나라와 300유로인 나라가 있고 1유로의 가치는 저마다 다를것이다. 아무튼 이탈리아에서 내밀면 에스프레소 한 잔 사먹을 수 있는 이탈리아의 1유로 디자인은 비트루비안 맨이라고도 불리우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인체비례도이다. 50센트의 미켈란젤로의 캄포돌리오 광장도 그렇고 역시나 이탈리아인들의 르네상스 시대에 대한 자부심은 대단한것인가? 아니면 이탈리아에서 그 르네상스 이후의 르네상스는 더이상 도래하지 않는것에 대한..
이탈리아 50센트 유로 동전 발트 3국의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의 뒤를 이어 2015년 올해부터 유로화를 쓰기 시작한 리투아니아. 2015년 1월1일부터 2주간 1월 15일까지 기존의 리투아니아 화폐 리타스와 유로화가 통용됐던 기간을 거치고 2015년 6월까지 모든 가격을 두가지 통화로 표기해야했던 의무 기간도 지나서 이제 왠만해서는 영수증이나 메뉴에서 리타스 가격을 보기가 힘들다. 1유로에 3.4528 리타스. 아직 완벽히 적응했다고 보기는 힘들지만 머릿속에서 유로 가격을 리타스로 바꾸는 습관은 초기와 비교해서 많이 줄어들었다. 쓸때는 굉장히 적은 돈을 쓴 것 같지만 리타스로 바꿔서 계산해보면 결코 적지 않은 돈. 그래서 리투아니아 국민들의 체감물가는 높아져만간다. 내가 유럽 여행을 했던 2006년도와 유로화로 환전을 해서 한국을 ..
노르웨이 여인들 며칠전에 여권을 사용할 일이 생겨서 서랍을 뒤지다가 지난번 베르겐 여행에서 남겨온 노르웨이 크로네를 발견했다.다 써버린 줄 알았다가 찾아낸 돈이면 엄청 기뻤겠지만 그런것은 아니고 베르겐말고 노르웨이 딴 도시에도  갈일이 생기지 않을까 해서 굳이 환전하지 않았던것인데 그냥 잊고 있었던것. 환전한 돈이 많지 않아서 은행 직원이 500크로네와 100크로네를 섞어서 줬는데 그때 받은 화폐의 인물이 모두 여성이라 신기해서 사진으로 찍었던게 기억이 났다.리투아니아의 은행에서는 왠만한 주변국 화폐는 거의 손쉽게 환전할 수 있다.  특히 빌니우스 중앙역과 버스 터미널 사이에 있는 환전소는 24시간 운영될뿐만아니라 환율도 좋고 수수료도 비싸지 않다. 서랍을 보니 작은 종이 상자에 담긴 몇몇 나라의 동전들도 보였다.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