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thuanian Language

리투아니아어 134_고등어 Skumbrė


오른편으로는 라트비아, 멀리 바다 건너 스웨덴.이 전혀 보이지 않는 망망대해에 뜬금없이 모터를 단 배 한 척이 나타나더니 배를 댈 만한 아무런 명분도 준비하지 못한, 공들여 쌓아 놓은 던전과 감시탑이 있을 뿐인 모래사장을 향해 점점 다가왔다. 너무 요란해서 도리어 위협적이지 않은 모터소리에도 불구하고 누군가가 내려서 갑자기 총질을 할 것 같은 이상한 기운을 내뿜는다.


지방 유지의 아이들이 치기 어린 뱃놀이를 한다고 하기에는 허름한 배 한 척, 크레용으로 그려놓은 듯한 리투아니아 국기가 녹슨 뱃머리에서 펄럭이고 배안에는 한사코 안 가져가겠다는 아들들을 나무라며 엄마들이 던져놓은 듯한 구명조끼가 겹겹이 쌓여있었다.

팔고자 하는 이들은 그 흔한 호객의 단어 하나조차 내뱉지 않았지만 헐벗은 몇몇 사람들이 장지갑을 들고 모여들었다. 비닐 봉지에 훈제 생선 몇 마리를 주섬주섬 넣어주고 이들은 미련 없이 배를 돌렸다. 딱 세 마리만 팔고 돌아가자고 입을 맞춘 듯이.


발트해 연안의 휴양 도시 어디를 가든 생선 훈연하는 냄새가 하얀 연기와 함께 피어오른다. 아주 오래전, 빌니우스의 술집에 모여있을 때 바다에 갔던 친구들이 들고 온 이 생선을 헤쳐먹고 우리 모두 손을 씻으러 갔다. 생선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도 뜨겁게 훈연한 고등어 한 마리는 일종의 의식처럼 현지에서 사먹게 된다. 떠나는 날에는 도시의 친구를 위한 한 마리를 주섬주섬 챙긴다.

서울에서 그래도 생선중에 가장 자주 먹었던 게 자반고등어였는데 생선 껍질에 엉겨 붙어있는 갈색 부분을 거침없이 먹는 아빠는 늘 어른같았고 나는 밥만큼 하얀 부분이나 바삭한 부분만 골라 먹곤 했는데 이곳의 훈제 생선은 따뜻한 밥이 생각날 만큼 맛있다.


훈연장롱


이곳 사람들은 실온에 놔둔 버터를 하얀빵 위에 뭉개바르고 뭉툭하게 발라 낸 생선을 얹어 먹는다. 그것도 꽤 먹을만하다. 단, 바로 먹어야 하는 온훈법 고등어 Karštai rūkyta skumbrė여야 한다. 차갑게 훈연한 고등어는 Šaltai rūkyta skumbrė는 상대적으로 오래 두고 먹을 수 있지만 조직이 두껍고 짜서 상대적으로 그 맛이 좀 맹렬하다.

루시드 폴의 애잔한 감성 고등어를 떠올리기엔 이 훈제 고등어들을 둘러싸고 퍼져나가는 노래들은 언제가 양양 하조대에서 울려 퍼지던 가요처럼 촌스럽기 짝이 없다. 7월의 바다는 이상하리만치 서늘하고 차가운 바다보다 더 여름스러운것은 따뜻한 연기를 품은 스쿰브레, 고등어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