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휴가 (914) 썸네일형 리스트형 Berlin 34_어떤 여행은 Berlin_2017 왠지 시작조차 하지 못하고 끝날 것만 같지. Vilnius 78_공사중 그냥 부수고 새로지을 수 없는 건물. 이런식으로 외벽을 그대로 놔두고 속을 채워나간다. 이리저리 휘어진 철근으로 가득한 공사장 대신 이렇게 해골 바가지처럼 뻥 뚫린 건물을 보면 아슬아슬한 동시에 스산한 기분이다. 날이 맑아서 파랗다면 다행이다. 저 빈틈이 온통 회색으로 채워질때도 더러 있다. 리투아니아어 53_트롤리버스 Troleibusas '이곳은 트롤리버스가 아닙니다. 문은 자동으로 닫히지 않아요.' 문 닫고 다니라는 글, 어린이 도서관 화장실에 붙어 있는 부탁의 글이다. Troleibusas. 글자를 잘 살펴보면 Bus 라는 단어가 보인다. 거기다 -as 를 붙이면 리투아니아 남성명사가 되는 것. 모음 알파벳 날것 그대로 트롤레이부사스 라고 읽는다. 리투아니아에서 -as 를 떼어놓으면 나름 이해할 수 있는 단어가 많아진다. Bredas Pitas. 어떻게 읽을 것인가. 다른 토닉 에스프레소 집에 냉장고가 오래되서인지 냉동실에는 성에가 거대한 빙하처럼 자리잡고 있다. 미끈하게 울룰불룩 변함없이 제자리를 지키고 있는 그들이 든든하게 느껴질 정도로. 얼마전 냉장고 전원을 빼놔야 할 일이 있었는데 희끄무레해진 빙하 가장자리 틈으로 칼날을 밀어넣으니 쩍하고 크레바스처럼 벌어졌다. 그렇게 냉장고를 빠져나온 한 조각의 빙하를 그냥 싱크대에 놔뒀다. 여름이 얼마만에 그를 녹여버릴지 궁금했기때문이다. 요즘의 여름은 딱 그렇다. 싱크대 배수구 언저리에서 점점 작아지던 딱 그 얼음 조각처럼 간신히 걸려있다. 이미 진작에 끝났는지도 모르는 그 신기루 같은 여름의 끝자락에서 마시는 시원한 커피. 에스프레소 모자를 쓴 토닉. Caffeine_Vilnius 수년 간 Coffee Inn 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했던 리투아니아의 토종 커피 브랜드. '커피인'이라고 읽어야겠지만 대다수의 리투아니아인들은 이 카페를 '코페이나스' 라고 불렀다. 카페 이름을 영어의 발음 기호와 상관없이 리투아니아어 알파벳 모음 발음으로 읽고 남성 어미 -as 를 붙여서 코페이나스가 되는 것. 그런데 코페이나스 Kofeinas 라는 리투아니아 단어 자체가 또 영어의 caffeine 이라는 뜻이니 그것이 의도된 작명이었는지는 모르지만 어쨌든 이 카페는 항상 그렇게 '카페인' 카페로 불리웠고 대주주가 바뀌고 경영구조가 바뀌면서 결국 카페 이름도 Caffeine 으로 바뀌게 되었다. 2004년에 첫 지점이 문을 열고 14년이 지난 지금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의 지점들까지 합쳐 매장이 60개.. 워킹데드 시즌 9를 기다리며 짧은 잡담 릭- 그래서 우리 둘다 계약 연장 한다는 거야?니건- 그러니깐. 난 나는 이번에 죽는 줄 알았어. 라고 말하며 웃고 있는것 같다. 죽음을 맞이할 줄 알았던 니건은 그렇게 또 살아남았네. 올 봄에 끝난 워킹데드 시즌 8. 드라마 자체가 끝날 줄 알았는데 의외로 끝이 나질 않아 시즌 9 기다림의 글을 쓰려고 반년 넘게 이 사진을 저장해놓고는 발행만 연장하다 지겨워서 이제 시즌이 시작될 시기에 임박하여 그냥 올리는 사진. 수년에 걸쳐 방영되는 드라마들을 보고 있자면 아 이 분은 여기서 끝인가보다. 죽겠구나. 다음 시즌엔 안나오겠구나. 그런 생각 항상 하게되고 그러면 싸워서 계약 연장을 못했나봐 이런 생각도 장난스럽게 하고. 실제로 그런 일들은 있을 수 있겠지. 이제는 누가 어떤식으로 죽었는지도 잘 기억이 안난.. 리투아니아의 초등학생들과 함께 한 한국어 캠프 지난 여름. 인구 50만 가량의 빌니우스에서 7명의 초등학생들과 함께 했던 소박한 캠프. 여름 방학이 세 달 가까이 되는 리투아니아에서 학생들이 여름을 보내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가족 친지의 여름 별장으로 바다로 호수로 숲으로 놀러가는 것. 한국에서와 마찬가지로 이곳도 일하는 학부형들에게 긴 여름방학은 큰 고민거리이다. 그렇게 여름 휴가를 꽉 채워서 쓰고도 남는 아이들의 방학은 이런 저런 캠프 참여로 채워지는 경우가 많은데 리투아니아에서는 집을 떠나 낯선 곳에서 숙박을 해결하는 체험 학습과 학교를 가듯 등학교를 하며 만났다 헤어지는 단기 사설 학원과 같은 것들을 통틀어 모두 Stovykla 라고 부른다. 출근 전의 엄마 아빠 손을 잡고 아침 8시 경에 모였다가 오후 5시까지 시간을 보내는 일종의 놀이방.. 이별한 카페 오래 전에 이곳에서 커피 마신 이야기를 쓴 적이 있는데 (http://ashland.tistory.com/385). 이곳은 나에게 겨울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곳이었다. 이곳의 계절은 겨울과 겨울이 아닌 것 둘이다. 그것은 어쩌면 모두가 다 싫어해도 나는 좋아하고 싶은 것들에 대한 유치한 과장인지도 모른다. 리투아니아의 겨울은 지나간다기 보다는 잠깐 움츠러들었고 나머지 계절들은 제 스스로 찾아온다기 보다는 간곡히 초청을 해야만 겨우 잠시 얼굴을 내밀었다. 겨울 부츠와 여름 샌들이 오래된 모래알을 교환하며 좁은 신발장에서 자리를 바꾸듯, 카페의 테이블도 창고 밖으로 빠져나오고 다시 돌아가는 시기를 맞이한다. 결국 오고야마는 겨울을 싫은 척 하면서도 가슴 깊이 안게 되지만 이 카페에 겨울이 찾아오면 늘 조금은.. 이전 1 ··· 52 53 54 55 56 57 58 ··· 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