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ily

(65)
랍상의 기억 예전부터 보고 싶었지만 아마 제목과 포스터가 풍기는 오페라의 유령스런 느낌이 다니엘 데이 루이스로도 극복하기 힘들었는지 계속 손을 대지 못하다가 한 달 전에 보게 된 영화. 팬텀 스레드. 영화를 보는 내내 여타 폴 토마스 앤더슨 영화들을 떠올리며 감춰진 스타일의 접점을 찾으려고 꽤나 애를 썼지만 그러진 못했다. 그 이유는 다니엘 데이 루이스의 대사나 표정 그리고 옷차림을 구경하는데 그저 정신이 팔려 있었기 때문에. 미국색이 팽배한 감독의 다른 영화들을 생각하니 그저 자신의 전작을 빛내준 영국인 명배우에게 헌정한 영화란 느낌마저 들었다. 나이가 들었어도 다니엘 데이 루이스는 그냥 다니엘 데이 루이스일 뿐이구나. 알 파치노만큼 나이가 들면 또 어떨지 모르겠다. 그런 그가 영화 초반에 식당에서 꽤 까다롭게 아..
피렌체 두오모를 빠뜨린 파스타 마트에 나타난 건축물 파스타. 어린이용으로 동물 파스타 , 알파벳 파스타 뭐 많지만 이런 건 처음 봤다. 약간 거래처에서 재고 소진하려고 강압적으로 판촉 해서 마트에 들어선 듯한 이런 반짝 제품들은 실제로 진열된 양만큼 다 팔리면 더 안 나오기 때문에 한 번 정도는 사서 먹어본다. 그런데 피렌체 두오모 버젓이 그려놓고 두오모는 없다. 역시 브루넬레스키의 돔을 파스타로 구현해내기는 만만치 않았나 보다. 할아버지 창업자의 숙원 사업이었던 건축물 파스타를 손자가 기어코 만들어낸 느낌이긴 하지만 뭔가 이런 대화가 들리는 듯하다. '생산 라인 새로 만드는데 투자 비용이 만만치 않아요. 콜로세움까진 어떻게 해보겠는데요 할아버지. 두오모는 정말 불가능해요.'. '네 아비도 그런 소릴 했지. 콜록콜록, 아니 두오모 속..
의복순례 파블로바 먹은 날인데 아마. 진짜 오랜만에 중고 옷가게 한바퀴를 돌았다. 역시 즉시 재채기 시작. 그래도 이 날 득템한 자켓을 날씨가 좀 추워진 틈에 신나게 입고 다녔다. 날씨 또 더워졌지만 금방 추워지겠지요.
7월의 코트 주말에 날씨가 쌀쌀해 보여 이때다 싶어 봄 코트를 입고 나갔다. 속에 이것저것 껴입으면 겨울의 끝머리에도 얼추 입을 수 있을 정도의 두께. 겨울의 끝머리라고 하면 4월이 훌쩍 넘어가는 시기를 뜻한다. 정오가 넘어가자 날씨가 화창해졌지만 큰 무리 없다. 이곳에서 여름에 입을 수 있는 옷의 스펙트럼은 약간 2호선 지하철 같은 느낌이다. 뫼비우스의 띠처럼 순환하는 녹색 밧줄 위에서 왕십리와 낙성대가 지닌 이질감 같은 것. 그런데 멀리서 걸어오고 있는 친구는 우산까지 들고 있다. 우리는 비가 올법한 날을 늘 염두에 두고 있지만 비가 오지 않아도 크게 문제 될 건 없다. 옷을 걸어놓고 돌아와서 자리에 앉으니 코트가 떨어져 있다. 7월의 코트가. 마치 지난겨울부터 저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는 듯이.
기억 지분 밀키 우롱을 가끔 마시는데 시치미떼는 듯한 비릿함이 은근히 중독성이 있고 거름망에서 점차 온전한 낙엽처럼 되어가는 모습을 구경하는 재미도 있다. 그런데 이제 밀키 우롱이 켐핀스키의 기억 지분을 가지게 되어서 그런지 이분이 좀 나에게 으스대는 느낌이 든다. 더불어 마지막 캬랴멜은 느닷없는 흑백변환으로 봉인되었음.
이브닝 티 세트. 회상이라 하면 뭔가가 좀 오래 지나서 어렴풋한 가운데에 즐겁고도 가슴 뛰었던 일들에 관한 지극히 선택적이고 편파적이며 멜랑콜리한 골몰이라고 생각하는데 신기하게도 가장 가까운 아침에 벌어진 일 그리고 불과 몇 시간 전에 벌어진 일들이 아주 오랜 기억 저편으로 서서히 스러져 그것을 회상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곤 했다. 누군가의 여행이 나의 여행처럼 느껴졌으니 그것이 마치 소설 속 화자가 자신의 여행 중에 읽고 있는 여행 에세이의 유쾌한 농담의 한 귀퉁이를 몰래 읽어주는 느낌이랄까. 그리하여 나는 지금까지의 들뜬 기분을 최대한 금이 안 나게 꼬깃꼬깃 접어서 이제는 좀 지상으로 내려와야겠다. 바르샤바에 내렸다가 가까스로 빌니우스에 당도한 새콤달콤과 카라멜 그리고 작설차와 함께.
타르코프스키의 책 작년에 번역되어 나온 타르코프스키의 책을 찔끔찔끔 읽고 있다. 이런 책은 사실 진도가 잘 안 나가지만 그나마 처음부터 순서대로 쭉 읽어야 하는 부담감이 없어서 단어 사냥한다 생각하고 하루에 한 페이지씩이라도 읽는데서 보람을 느끼려고 한다. 특히나 이 책은 예전부터 읽어보고 싶기도 했지만 처음에 얼핏 본 표지가 너무 마음에 들기도 했다. 노스탤지어의 한 장면인데 이 영화 자체는 나의 베스트라고 할 수 없지만 타르코프스키의 눈으로 한컷 필터링된 이탈리아를 감상하는 매력이 있다. 많은 감독들을 좋아하지만 그 작품들은 보통은 그들의 연출작이라고 일컫게 되는데 유독 타르코프스키의 작품들은 그의 유산이라는 개념으로 다가온다. 아마도 각각의 작품들이 서로 겹치거나 반복되는 인상이 없이 구성도 느낌도 다르고 뭔가 더 ..
무심코 담아놓고 쳐다보게 되는 것들. 가끔 사 먹는 크림치즈가 들어간 미니 파프리카. 마트엔 이런 동그란 파프리카 말고 뭉툭하지만 길쭉한 모양의 미니 파프리카만 있어서 몇 번 크림치즈를 넣어서 구워봤는데 옆으로 잘 삐져나오고 아무튼 이렇게 예쁘게는 안 만들어진다. 이것은 의외로 달고 육각의 예쁜 유리병에 담겨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