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휴가 (907)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투아니아어 51_설탕 Cukrus 사실 리투아니아 단어 설탕에 대해서는 오래전에 썼는데 (http://ashland.tistory.com/368) 그냥 한번 더 쓰는 거. 나 같은 경우엔 하루에 집에서 커피 한 잔, 종류에 관계없이 차 한 잔을 마시는 편이고 열의 다섯번은 설탕을 넣기 때문에 머릿속에선 하루에 한 번 이상 생각하고 넘어 가는 단어. 그런 단어들 의외로 참 많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며칠 전 의자를 딛고 올라서서 부엌 제일 높은 선반 위의 거대 샐러드 볼을 손으로 더듬다가 알게 된 사실에 경악했다. 1킬로짜리 설탕 한 봉지를 사면 보통 반 정도를 설탕 단지에 붓고 남은 반은 이 그릇에 넣어 올려 놓는다. 여기엔 작은 초콜릿이나 자잘한 군것질들, 그러니깐 나중을 생각하며 기분 좋게 은신시키지만 평상시 그 존재를 잊고 있다가 문.. Vilnius cafe_Brew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끓이는 커피를 오후가 다 되어서야 끝내는 습관. 커피양이 많아서일까 싶어 작은 잔에도 끓여보았지만 여전히 커피는 오후까지 남았다. 움직임이 많은 집에서의 패턴 때문이겠지 생각했지만 혼자서 카페를 가더라도 카페를 떠나기 직전에야 반이나 남은 차디찬 커피를 들이킨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온갖 방법으로 온갖 커피를 끓여봐도 커피는 항상 남는다. 나는 그냥 커피를 금새 다 마셔버리고 싶지 않은 것이다. 커피 한 모금이 지척에 있다는 사실이 주는 거대한 위안. 매일 아침의 진부한 나를 여지없이 깨우러 오는 이에 저녁까지 엉겨붙어 떨어지고 싶지 않은 마음. 그나마 에스프레소나 에스프레소 마끼아또 같은 커피들은 양이 원체 적으니 한 번에 다 마실 수 있지만 그것도 거의 다 식고 난 후이다. 숟.. Vilnius 73_빨강파랑노랑초록 Vilnius_2018 현금이 없어서 매번 지나치는 노란색 딸기 천막. 며칠째 30도에 가깝던 기온이 오늘 13도까지 뚝 떨어졌다. 하늘은 높고 거센 바람에 떨어져 뒤따라오는 싱그러운 나뭇잎 소리에 몇 번을 뒤돌아봤던 날. Vilnius 72_Very layered Vilnius_2018 모든 성자들의 교회. Berlin 32_베를린 주간 Berlin_2017 베를린 주간이 오늘로 끝났다. 작년의 오늘 저녁에 베를린에서 빌니우스로 돌아옴. 무수했던 커피 향기가. 케밥집의 매콤했던 절인 고추가. 거리거리 소복히 쌓여있던 꽃가루들이 눈 앞에 떠오르는것. 때로는 향기로 맛으로 그리고 어떤 질감으로 말이다. 한 번 정도는 사 먹어 볼 수도 있었을텐데 기어이 사 먹지 않고 온 베를린의 딸기. 항상 잠겨 있었던 것도 같고. 쓰여진 문자만 봐서는 얼핏 무슨 맥주 파는 곳 같은 느낌을 다분히 주지만 빼도 박을 수도 없는 명백한 딸기이다. 요새 딸기철이라 빌니우스에도 딸기 스탠드가 많다. 보통 천막 아래 가판대 위에 판매 허가증을 놓고 오로지 딸기만 1킬로 혹은 반킬로씩 저울질해서 한정된 양을 파는데 하루종일 냉장 시설없이 땡볕에 서있는거라 저녁때는 거의.. Vilnius 71_놀이터 매일매일 햇살에 휘청이는 날들이다. 하늘이 잿빛이 아니라면 그래서 오히려 그림자에 집착하게 된다. 얼마전에 미드 Stranger things 시즌 2를 보고 다른 편 세상에 대한 망상도 생겼다. Vilnius 70_오픈 하우스 빌니우스 하루를 보낸 일기도 결국은 지나간 일에 대한 것이겠지만 그보다 더 오래전의 일 그리고 훨씬 더 오래전의 여행에 대해서 이야기할때 현재를 살고 있다는 느낌을 더욱 강하게 받는다. 잊혀져가는 시간들에 라벨을 붙이고 잊고 싶지 않은 것들은 희미하게라도 금을 내어 접어 존속 시키고 싶은 마음이겠지. 빌니우스의 요즘은 참 바쁘다. 4월이 되면서 조금씩 봄의 시동을 걸기 시작하는 도시는 5월에 그 분주함이 절정을 이루고 6월부터 본격적인 휴가가 시작되면서 조금은 조용해진다. 지난 4월 말 열렸던 오픈 하우스 빌니우스. 빌니우스의 오픈 하우스는 물론 몇백여개의 건축물을 개방하는 오픈 하우스 런던의 규모에 비하면 소박하겠지만 어쨌든 평소에 일반인에게 개방되지 않는 건물들을 자원봉사자 가이드와 함께 둘러 볼 수 있는 좋.. Vilnius 69_하얀노랑 Vilnius_2018 사진을 올려놓고 슬로우다이브를 계속 듣고 있자니 노란 민들레도 낮의 열기도 그냥 '슬로우다이브 해진다.' 어떤 사진이어도 그럴거다. 5월은 그렇다. 발 끝에는 노란 민들레. 코 끝으로는 라일락 향기, 머리 위에는 하얀 밤 꽃. 지속적이지 않은 것들을 향한 고질적이고도 향유적인 우울에서 자유로워지고 싶다. 아니 그러고 싶지 않다. 이전 1 ··· 53 54 55 56 57 58 59 ··· 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