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휴가 (910) 썸네일형 리스트형 Vilnius 99 7월들어 내내 평균 15도 정도의 기온, 여름 날씨라고 하기에는 다소 춥지만 걷기에는 최적이다. 간혹 짧은 비가 내리기도 하고 잠시 피해가기에는 부담스러운 긴 비가 내리기도 하지만 그래도 괜찮다. 모르는 이와 함께 비를 맞는 것만큼의 절대적인 공유가 또 있을까. 각자 길을 걷다가 마당 입구의 아치 아래에 약속이나 한 듯 모이는 이들, 주섬주섬 우비를 꺼내는 중년의 관광객들, 생각지도 못한 장소에서 하던 이야기를 천천히 이어가는 어떤 여행 가이드, 일행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좀 더 깊숙히 파고들어 남의 집 마당의 사소함을 살펴보는 이들은 담쟁이 넝쿨이 휘감은 건물이 뿜어내는 이끼 냄새에 사로잡히고 방금 막 들어갔다 나온 화려한 성당의 아주 조촐한 뒷모습을 발견하기도 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비는 그렇게 지나간다. 리투아니아어 60_형제들 Broliai 도서관 입구에 책 교환 수레가 있다. 매 번 갈때마다 빈 손이어서 쉽게 다른 책을 들고 올 엄두를 내지 못하다가 어떤 날에 수레에 놔두고 올 책 한 권을 챙겨서 도서관에 갔는데 이 책이 보였다. 카라마조프 형제들의 리투아니아어 번역본을 가지고 있지만 이제는 굵직한 장편들은 한국어든 리투아니아어든 여러 다른 번역으로 읽고 싶다. 더 이상 새로운 작품을 쓸 수 없는 작가를 지속적으로 기억하는 유일한 방법이기도 하고 복잡한 번역이 있고 또 좀 수월한 번역이 있기도 하니깐. 살짝 집어 든 책은 몹시 가벼웠고 정갈했고 게다가 한 권짜리. 하지만 첫 잔상이 사라지고 몇 초후에 선명하게 포착한 O 자 위의 사선. 내가 읽을 수 없는 노르웨이어였다. 하지만 어쨌든 들고 왔다. 집에 돌아와서 러시아 찻 잔에 차를 담고 .. Vilnius 98_탁자 고요한 7월의 아침. 이곳은 이차선 도로이지만 차선 하나는 온전히 트롤리버스를 위한 것으로 일방통행 도로이다. 그래서인지 신호라도 걸리면 더없이 한가롭다. 벽에 고정된 테이블 하나가 쏟아지는 햇살을 전부 차지하고 있었다. 아침을 먹고 나서지 않으면 방금 막 문을 연 빵집과 카페로부터 흘러나오는 빵 냄새와 음악소리에 계속 흘끔거리게 되는 아침. 리투아니아어 59_무지개 Vaivorykštė 어제 트롤리버스에서 내리니 정거장에서 기다리고 있던 무지개. 이번 주에 갑자기 기온이 크게 떨어졌고 봄가을 코트를 다시 꺼내 입었다. 비도 자주 온다. 보통은 지나가는 비라 우산을 챙길 필요는 없다. 비가 오고 해가 나고 해가 난 상태에서 비가 오는 경우도 많으니 무지개도 자주 보인다. 리투아니아어로 무지개를 Vaivorykštė 바이보릭싀테 라고 한다. Vaivas 는 현지인들에게 물어봐도 잘 모르는 단어이고 그만큼 거의 사용하지 않는 단어인데 우선 빛이라는 뜻이 있단다. Rykštė 는 채찍까지는 아니지만 무지개와 같은 구부러짐을 보이며 찰싹찰싹 거리면서 때릴 수 있는 회초리를 칭할때 쓰인다. 그런데 빛의 채찍이라니. 채찍이라는 단어도 빛이라는 단어와 합성하니 퍽이나 시적이다. 들판에서 들꽃을 꺽어서.. Vilnius 97_어떤 성당 빌니우스 구시가에 성당이 정말 많다. 빌니우스 대학 근처의 종탑에 올라 재미삼아 그 성당들을 세어보는 중이라면 성당들이 워낙에 옹기종기 붙어 있는 탓에 이미 센 성당을 또 세게 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 성당이라면 좀 예외이다. 이는 그들 성당의 무리에서 외톨이처럼 뚝 떨어져서 고고하게 언덕 위를 지키고 있다. 리투아니아는 유럽의 카톨릭 국가 중 가장 꼴찌로 카톨릭을 받아들였음에도 불구하고 또 그 와중에 정교를 비롯한 다양한 종파가 혼재했고 종교 자체가 금기시되었던 소련의 지배를 반세기 이상 거치고도 연합국이었던 폴란드의 영향 때문인지 구교도들이 절대우위를 차지하는 독실한 카톨릭 국가로 남았다. 리투아니아의 유일한 왕으로 기록된 민다우가스가 13세기 초반에 왕의 칭호를 얻기 위해 로마 교황으로 부터 개.. Vilnius 96_6월 6월의 오늘은 하지. 1년 중 가장 짧은 밤, 가장 늦은 저녁의 석양과 이별하기 위해 지금 어딘가에선 높게 쌓아 올린 커다란 장작이 불타오르고 곱게 만든 화관들 가운데에 놓인 양초에서 피어난 불빛이 고요한 강 위를 수놓고 있을 것이다. 엄밀히 말하면 오늘부터 긴 겨울로 접어드는 이른 여정이 시작된다. 7월은 여전하고 8월이 멀쩡히 남아 있으나 여름은 항상 6월까지라고 생각하게 된다. 6월의 오늘을 기점으로 여름은 이제 막 봄을 떠나왔다기보다는 좀 더 겨울을 향하고 있는 것이 맞다. 6월이 되면 어김없이 생각나는 어떤 소설들이 있다. 도스토예프스키의 백야와 까뮈의 이방인이다. 6월만큼 짧은 이 소설들을 왠지 가장 긴 여름밤을 지새우며 읽어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들 정도로. 6이라는 숫자. 1년의 반, 마치.. Ben is back (2018) 오랜만에 줄리아 로버츠가 보고 싶어서 비교적 최근 작이 있어서 보기 시작했다. 얼마 전에 예전에 살던 동네 서점 주인아저씨 이야기를 하다가 노팅힐의 휴 그랜트가 떠올랐더랬다. 그렇다면 어찌 그가 서점에 들어서던 줄리아 로버츠를 보던 그 장면이 떠오르지 않을 수 있을까. 여전히 영화 귀여운 여인의 발랄한 티브이 광고가 기억난다. 리처드 기어와 줄리아 로버츠 역은 알 파치노와 멕 라이언이 거절한 역이라고 하지. 지금의 멕 라이언은 너무나 변해버렸지만 너무 여위었다면 또 여윈 대로 여전히 싱그러운 줄리아 로버츠를 본다. 이제는 저렇게 큰 청년의 엄마 역할을 할 수 있는 줄리아 로버츠의 가슴 뭉클한 이야기려나 예상하고 보는데 의외로 굉장한 긴장감 속에서 보게 되었다. 전반적으로 매즈 미켈슨의 헌트가 뿜어내던 불.. 감자전과 끄바스 어제 날씨가 참 좋았다. 트라카이에 갔다. 빌니우스에서 트라카이까지는 30분 정도로 크게 멀지 않다. 트라카이에 도착하자마자 아침 겸 점심으로 먹은 감자전. 좀 더 널리 알려진 러시아식으로 말하면 끄바스, 리투아니아어로는 기라 Gira 라고 불리우는 음료도 함께 주문했다. 흑빵을 발효시켜 만든 무알콜 음료이지만 때에 따라서는 1.5프로 정도의 알콜을 포함하기도 하는데 식당에서 직접 제조했다는 이 기라는 날이 더워서 그랬는지 알콜이 조금 섞여 있었던 것인지 조금 빨갛게 올라오며 약간 취하는 느낌이 들었다. 도톰한 감자전 속에는 고기가 들어있고 기름에 볶은 돼지 비계와 딜을 흩뿌린 사우어크림이 양념으로 올라온다. 트라카이가 휴양지이긴 하지만 빌니우스도 사실 관광지이기때문에 식당에서 이런 음식을 먹으면 산이나..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 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