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빌니우스

(71)
Vilnius 76_라즈베리 마트 앞에 집합한 가판대 위의 수부룩한 열매들과 함께 빌니우스의 여름이 절정을 향한다. 숲에서 혹은 자신의 여름 별장에서 채집한 열매와 버섯, 직접 기른 래디쉬나 오이, 파 같은 것들을 소량씩 얹어놓고 파는데 그것들이 다 모이면 꽤나 풍성하고 다채로운 풍경이 된다. 잼이 들어간 도너츠를 잘 안먹지만 그래도 가끔 골라 먹던 도너츠는 라즈베리잼이 들어간 도너츠. 그 까탈스러운 생김새와 생뚱맞은 식감과 맛 때문에 여름 열매들 중 가장 마음이 간다. 특히나 가판대 위의 라즈베리는 마트 속 라즈베리와 달리 크기도 들쑥날쑥하고 아주 작은 것들은 큰 것들에 치어서 거의 이즈러져 있다. 자유로이 드나드는 벌레들도 함께이다. 한 봉지 사들고 집으로. 어쩌면 세상에서 가장 씻기 번거로운 과일. 그래서 씻지 않고 먹으려하면..
Vilnius 75_우주피스의 짤순이 빌니우스를 여행했던 첫날 우주피스 Užupis 의 빌넬레 강은 꽁꽁 얼어있었다. 지금의 3월 말 기온과 12년 전의 그것은 아주 달랐으니. 이 강이 졸졸 흐르는 봄과 여름이 되었을때 꼭 이곳에 다시 오고 싶다 생각했었는데 그것은 어쩌면 언 강이 녹는것처럼 시간이 흘러 저절로 이루어질 소망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우주피스를 휘감으며 잔잔하게 흘러가는 이 강을 볼때마다 그때 생각이 난다. 그리고 이 사려깊은 전시물은 아마도 지금보다 수심이 깊었을 저 강 기슭에서 빨래 방망이를 휘둘렀을 아낙네들을 위한 것이리라.
리투아니아어 52_Vartai 문 Neužstatyti vartų! '차고 앞에 차 세우지 마세요.' 꽁꽁 얼어붙었던 어느 겨울날. 차 조차도 세울 수 없게 삼라만상이 자리 잡고 있던 어느 외진 곳의 Vartai. Vartai 는 보통 성문, 입구를 뜻하는 단어로 쓰이지만 이런 차고에도 보통 이 단어 사용한다.
Vilnius 73_빨강파랑노랑초록 Vilnius_2018 현금이 없어서 매번 지나치는 노란색 딸기 천막. 며칠째 30도에 가깝던 기온이 오늘 13도까지 뚝 떨어졌다. 하늘은 높고 거센 바람에 떨어져 뒤따라오는 싱그러운 나뭇잎 소리에 몇 번을 뒤돌아봤던 날.
Vilnius 71_놀이터 매일매일 햇살에 휘청이는 날들이다. 하늘이 잿빛이 아니라면 그래서 오히려 그림자에 집착하게 된다. 얼마전에 미드 Stranger things 시즌 2를 보고 다른 편 세상에 대한 망상도 생겼다.
Vilnius 70_오픈 하우스 빌니우스 하루를 보낸 일기도 결국은 지나간 일에 대한 것이겠지만 그보다 더 오래전의 일 그리고 훨씬 더 오래전의 여행에 대해서 이야기할때 현재를 살고 있다는 느낌을 더욱 강하게 받는다. 잊혀져가는 시간들에 라벨을 붙이고 잊고 싶지 않은 것들은 희미하게라도 금을 내어 접어 존속 시키고 싶은 마음이겠지. 빌니우스의 요즘은 참 바쁘다. 4월이 되면서 조금씩 봄의 시동을 걸기 시작하는 도시는 5월에 그 분주함이 절정을 이루고 6월부터 본격적인 휴가가 시작되면서 조금은 조용해진다. 지난 4월 말 열렸던 오픈 하우스 빌니우스. 빌니우스의 오픈 하우스는 물론 몇백여개의 건축물을 개방하는 오픈 하우스 런던의 규모에 비하면 소박하겠지만 어쨌든 평소에 일반인에게 개방되지 않는 건물들을 자원봉사자 가이드와 함께 둘러 볼 수 있는 좋..
Vilnius 68_19시 57분 Vilnius_2018 겨우내내 어둠을 뚫고 귀가하는 것이 발목에 엉겨붙는 질겅한 눈만큼의 피로감을 주었다. 겨울의 추위는 온도계를 지녔겠지만 그 어둠의 채도는 너무나 한결 같아서 겨울이 추위의 대명사가 된 것은 순전히 그가 어떻게도 해결 할 수 없는 어둠을 회피하기 위해서라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계절은 그 어둠을 이를 악물고 빠져나온다. 삽으로 파헤쳐지고 발로 다져짐에 쉴틈없는 놀이터 모래 상자속에 보란듯이 고개를 치켜 세운 잡초 한 가닥처럼. 그리고 그 오기가 빚어낸 설익은 계절의 가파름은 이번에도 여지없이 허무함을 뿌리치지 못했다. 겨울을 좀 더 나른하게 보내면 봄이 좀 덜 무기력하게 느껴질까. 오후 8시 남짓의 집으로 돌아가는 길. 서머타임의 시작으로 4월들어 급격히 밝아진 저녁과 길어지는 낮...
Vilnius 67_어떤 건물 2 Vilnius_2018 리투아니아 사람들 중 그 어느 누구도 기능도 외양도 각기 다른 이 세개의 건축물을 앙상블이라고 부르지는 않겠지만 나는 줄곧 이들을 대학 앙상블이라고 부른다. 매번 이 위치에 서서 이들을 보고 있자면 결국 같은 하늘 아래 같은 땅 위에 제 의지와는 상관없이 놓여져서 고통과 영화를 주고 받았던 이웃일 뿐이라 생각하게 된다. 가장 오른편에 있는 대통령 궁은 뻬쩨르의 겨울 궁전을 복원한 러시아 건축가 바실리 스타소프의 작품이다. 빌니우스에 발을 들여 본 적 없는 건축가는 뻬쩨르의 어디쯤에서 실제 건축 부지 보다 큰 건물을 설계 했고 결국 건물은 건너편 빌니우스 대학 담벼락을 허물고 거리를 좁히면서 설계도 그대로 지어졌다. 그게 아니었더라면 아마 이 위치에서 대학 도서관 건물 끄트머리에 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