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휴가 (907) 썸네일형 리스트형 Vilnius 171_세 친구 쌀/세몰리나/밀가루 Vilnius 170_지붕 아래 지붕 아침을 일찍 먹고 밖으로 나갔다. 시장 근처의 놀이터에서 놀다가 비를 피해 시장으로 들어갔다. 돌아오는 길에 저번에 공원 좌판에서 팔던 리투아니아 전래 동화책을 사려고 했는데 팔렸는지 없다. 비가 오고나면 여기저기에 물이 고인다. 웅덩이에서 놀고 성당 정원에서도 놀았다. 돌아오는 길에 멈춰야 할 곳은 무한하다. 걷다가 멈추는 것이 아니라 멈추기 위해 걷는 것처럼. 그 사이 토요일 오전의 태양이 성당 건너편에 멋진 지붕을 만들어냈다. Vilnius 169_전당포 너머로 7월의 아인슈타인 기차역에서 나오자마자 비가 쏟아졌다. 중앙역 근처의 우거진 나무 아래에 서서 순식간에 내린 비가 만들어내는 물줄기를 구경했다. 버스 터미널이나 기차역을 빠져나왔는데 비가 내린다면 시내버스와 트롤리버스가 정차하는 도로변의 나무숲으로 가면 된다. 역 주위가 대대적인 리노베이션을 겪는다면 언젠가 사라질 전당포와 전화기 수리점, 선술집 등이 모여있는 뭔가 불량스럽고 미심쩍은 건물 주위를 배회하는 사람을 구경할 수 있고 올해부터는 여행에 들떠있는 아인슈타인도 만날 수 있다. 비는 금방 그치기 때문에 이 비가 그칠지 말지를 알아볼 안목도 필수는 아니다. Vilnius 168_다른 방향으로 가면 집에서 멀리 갈 필요도 없는 곳에 버려진듯한 이런 장소와 풍경들이 많이 있다. 늘 가는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가면 그렇다. 하지만 그렇다고 아주 죽어버린 장소들은 또 아니어서 어느정도 머물다보면 어디에나 눈인사 할 사람들이 낡은 창고 속에서 혹은 운행을 멈춘 듯한 트럭 안에서 슬그머니 고개를 내민다. 사라질 것이 명명백백한 것들이 품고 있는 그만의 애잔한 아름다움이 분명히 있다. 르비우 어딘가 '아침에 눈을 떠보니 기차는 끝없이 펼쳐진 우크라이나의 흑토안으로 들어와 있었다. 농부들이 비옥한 흙에 파묻힌 채, 뼈대가 굵고 육중한 말을 부리며 쟁기질하는 모습이 심심치 않게 보였다. 바위나 동산, 숲 따위는 찾아보려고 해도 볼 수가 없었다. 이따금 가냘픈 몸매의 하얀 포플러나 배고픈 까마귀들이 하늘을 나는 것이 눈에 띌 뿐이었다. 안개 너머로 끝없이 펼쳐진 평원 위로는 드문드문 흩어진 마을들이 보였다. 마을 중앙에는 한결같이 서양배 모양의 초록색을 칠한 돔이 있는 교회가 서 있었고, 그 주변으로 빽빽하게 낮은 집들이 들어서 있었다. 그리고 마을 변두리에는, 양 떼 사이로 양치기 하나가 우뚝 서 있었다. -러시아 기행, 니코스 카잔차키스-' 요즘 조금씩 읽고 있는 책 중에 키예프에 관한 짧은 부분. .. Vilnius 167_최초의 저녁 식사 헬싱키 경유하여 여행가는 친구 생각하다가 떠오르기 시작한 2006년 그 즈음 그 구간의 여행들. 뻬쩨르에서 산 걸쭉한 간장과 우주피스의 마트에서 산 야채 샐러드와 냉동 생선 스틱. 헬싱키의 일본 상점에서 산 쌀을 곁들여 지금은 없어진 우주피스의 호스텔에서 맛있는 저녁을 먹었다. 생각해보면 리투아니아에서의 최초의 저녁 식사였는데 저런 기성품들의 맛은 지금도 이따금 생각나서 먹으면 그냥 똑같다. 그때 부엌에서 내가 거쳐온 루트로 거꾸로 여행을 가는 외국인 부부를 만나서 냄비 태우지 않고 끓일 수 있는 봉지쌀의 존재를 알게되었고 그들에게 스크랩한 시베리아 횡단 열차 표를 구경시켜 주었다. 방으로 돌아와보니 집채만한 배낭을 짊어지고 다니는 독일인 여자애가 침대밖으로 거의 다리가 삐져나온 채로 누워서 오에 겐자부.. 리투아니아어 93_책 Knyga 램프 자리에는 사전이나 여기저기서 주워 온 리투아니아 잡지 같은 것들을 그냥 세워두는 편인데 오랜만에 존재감 뿜는 책들로 채워보았다. 이들은 빌니우스로 여행을 오셨던 소중한 블로그 이웃님께서 선물로 주신 책들인데 일부는 두고두고 읽으면 괜찮을 것 같아 내가 고른 것들이고 일부는 좋아하는 작품들을 손수 추천해 주셨다. 감사하는 마음과 행복감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모든 작품들이 묘하게 러시아에 수렴되는 와중에 헤밍웨이의 수필 속에서도 러시아 문학에 대한 짧은 언급이 있는데 동시대 친구 작가들에 대한 적나라한 평가와 비교하면 만나본 적 없는 선배 작가들에 대해선 그래도 예의와 존경 모드를 유지해주셨다. 근데 생각해보니 결국 그것도 러시아 소설은 읽어 본 적 없고 프랑스 소설이나 읽으라는 비평가 친구에 대.. 리투아니아어 92_ Abrikosas 살구 유사단어로는 아브라카다브라, 아바나마트 등이 있다.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