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휴가 (898)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런 커피 (Incheon_2017) 친구 가족을 만나러 간 인천의 어느 키즈 카페. 아무리 기다려도 커피를 토해내지 않던 장난감 커피 머신. 몹시 세기말적인 풍경이란 생각이 들었다. 캡슐을 넣지 않아도 커피콩을 담지 않더라도 수북하게 쌓이는 커피 향기를 머금은 기체를 마시는 날이 올까. 그런 커피여도 왠지 커피잔은 덜 진화한 지금의 형태로 남을것 같다. 모든것이 깡그리 변하기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것이다. 살구 자두 하이브리드 마트에 새로 등장하는 과일이나 식품들은 보통은 비싸다. 하지만 할인 스티커가 붙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다시 등장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마트의 판촉 상품으로 등장하는 그들은 그런데 보통은 또 매력적이다. 12색 기본 물감 팔레트에는 없지만 36가지 색 크레파스에는 고고하게 꽂혀있는 그런 색다른 빛깔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것은 어쩌면 새로운 것 그리고 다른 것보다 조금 값비싼것들에 으례 덧씌워진 환상이나 허황같은것일 수도 있다. 그것은 수입 담당 직원에게 가해진 끼워팔기의 강매였을수도 있고 다 식은 커피와 함께 유통기한이 지난 마트의 도넛을 먹으며 식품 카탈로그를 보다 혹해서 주문 버튼을 눌러버린 그의 모험일 수도 있다. 설사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아 할인의 할인을 거듭한 딱지가 덕지덕지 붙여진다.. Vilnius 51_여름의 끝 단순히 이곳의 여름이 여름같지 않다고 말하는것은 무의미하지 않은가. 여름의 의미가 그저 다시 정립되어야 하는것인지도 모르겠다. Berlin 24_Berlin cafe 06_Distrikt coffee 베를린의 카페씬은 미테와 크로이츠버그 두 동네가 양분한 상태에서 그 주변 동네들이 모두 동시다발적으로 다크호스로 부상하고 있는 느낌이었다. 노이쾰른이든 프리드리히샨이든 어딜 가든 맛있는 커피를 만드는 좋은 카페들이 점점이 퍼져나가고 있는것이다. 한편으로는 베를린 사람들이 부럽기도 하고 이제 막 새싹처럼 돋아나고 있는 빌니우스의 카페들에 더 많은 애정을 쏟고싶다는 생각도 하게 한다. 그리고 쉐네버그의 더블아이 (http://ashland.tistory.com/603)는 오히려 베를린 카페씬의 성역으로 다가온다. 꼭 커피맛 때문만은 아니다. 다른 카페들이 조금씩 닮은 구석을 공유하는 동시에 차별화하면서 하나의 카페씬을 형성하고 있다면 이곳은 그냥 독자적인 노선을 걷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다른 동네 카페 이.. 집에서 커피 그렇지. 커피는 침몰하는 것이었지. Berlin 23_베를린의 쌀국수 베를린에서 쌀국수를 총 4번 먹었다. 평소에 먹던것과 좀 다른 새로운 음식이 먹고 싶다라고 해서 내가 오랜만의 여행지 베를린에서 먹고자했던것들은 오히려 동남아 음식이었다. 요즘에야 빌니우스에도 국물이 있는 면류를 파는 아시아 음식점들이 종종 생겨난다고는 하지만 이민자들이 운영하는 동남아 음식점들은 아직 전무한 수준이고 그 맛이라는것도 암스테르담이나 베를린 식당의 그것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다. 식당을 들어서면 전구를 한두개는 빼놓은 듯한 조명에 동남아 음악이 흐르고 딸인듯한 여자가 뒤쪽으로 술들이 진열된 카운터 앞에서 손거울을 보고 있고 사위인듯한 사람이 메뉴판을 들고 오며 아버지인듯한 남자가 야외 테이블에서 담배를 피우고 있는 그런 모습. 그리고 식당에는 정말 이 음식들이 너무 맛있어서 서로 머리를 부딪.. Berlin 22_Berlin cafe 05_Double Eye 베를린은 생각보다 큰 도시가 아니었다. 서울의 지하철 노선도를 근거로 서울의 물리적 크기가 무의식 깊숙히 자리잡은 상태에서 베를린의 지하철 노선도를 보면서 여기서 여기까지가 이만큼 정도이겠지 예상하면 그 예상은 항상 보기좋게 빗나갔다. 잠실에서 종로쯤일거라 생각했던 거리는 그냥 잠실에서 건대 입구 정도. 종로에서 일산까지 라고 생각했던 거리는 그냥 종로에서 대학로 정도까지였다. 지하철에 오르고 내리는것이 너무나 편한 구조여서 잦은 이동으로도 피로감을 주지 않았던 작은 베를린, 그렇지만 구역마다의 느낌은 제각각이었다. 크로이츠버그 Kreuzberg 의 옆동네이지만 상당히 멀리 떨어져있을거라 생각했던 쉐네버그 Schoneberg 지역은 그냥 정말 가까운 옆동네였지만 그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좀 덜 상업적이.. Berlin 21_Berlin cafe 04_St. Oberholz St. Oberholz. 검색해서 찾아간 첫 카페이기도 하고 오후 8시를 훌쩍 넘긴 시간이었기에 선택권이 없어서 찾아 갔던 카페이기도 하다. 이 카페는 보통 오후 7시경이면 문을 닫는 베를린 카페들과 달리 비교적 늦은 시간까지 문이 열려있다. 이 카페를 간 날은 아침에 Father Carpenter 카페에 갔던 날이기도하고 (http://ashland.tistory.com/601) 모듈러라는 이름의 대형 문구상점에도 들르고 무게당 가격을 매기는 중고옷상점에도 들렀었고 유태인 메모리얼부터 브란덴부르크까지 아무것도 먹지 않고 커피 한잔만 들이킨채 종횡무진 열심히 돌아다녔다. 그리고 오후 늦게 커피 한잔이 더 마시고 싶어졌을때는 이미 7시를 넘겨버린 시간이었다. 그래서 브란덴부르크 근처에서 100번버스를 타고.. 이전 1 ··· 65 66 67 68 69 70 71 ··· 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