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904)
디아블로 3 이 사진이 의미하는바를 유저의 입장에서 가슴으로 이해했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2012년이 가기전에 레벨 50을 달성하겠다는 남편의 포부는 이미 머릿속에 각인된지 오래이다. 이건 뭐냐 그러니깐 남편의 취미에 대한 오마쥬이자 상생과 협력으로 풍성한 2013년을 맞이하기위한 마인드 컨트롤이랄까. 줄리아 차일드의 남편은 요리 좋아하는 아내덕에 아내도 기억못하는 요리 용어를 인지할정도의 요리지식을 터득하게되지만 나는 그냥 진심으로 행복한 표정으로 게임얘기를 풀어놓는 남편의 얘기를 경청하는것으로 소임을 다하려 한다. 반년 후에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지도 예측하기 어려운 변화무쌍한 인생이다. 나이가 들어서의 우리의 일상은 어떤 모습일까. 훌륭하든 그렇지 않든 우리의 세계관과 우리의 방식대로 살아가는것이 최선이라는 생..
<사이드웨이 sideways> 알렉산더 페인 (2004) 세상에는 와인을 좋아하는 사람보다 와인을 좋아하려는 사람이 많은게 확실하다. 와인이라는 녀석 자체가 그런 느낌을 준다. 마치 이유없이 그냥 친해지고 싶은 그런 친구. '나 걔랑 되게 친해'라고 자랑하고 싶어지는 친구. 입어서 예쁜 옷도 아니고 먹어서 맛있는 음식도 아니지만 맛있게 마실 줄 알고 녀석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얘기 할 수 있을때 우리의 존재도 아름다워 보인다고 믿게 하는 녀석. 특별히 와인을 좋아하는것은 아니지만 와인을 마실 기회는 전보다 훨씬 많아졌다. 비싼 돈 주지 않아도 살 수 있는 와인들이 분명히 있고 세일기간이라도 겹치면 비싸다 싶던 와인도 맛 볼 기회가 있다. 차이는 모르겠다. 정말 비싼 와인을 마셔본 적이 없으니 마셔보고 '정말 차원이 다른 맛이군'이라고 실감하지 않는 이상 오래된 ..
<마르타 마시 메이 마를렌 Martha marcy may marlen> 숀 더킨 (2011) 영화 포스터와 제목을 보고 줄거리를 짐작해 본다. 유난히 추측을 부르고 불길한 상상을 부추기는 영화 포스터들이 있다. 차갑고 푸르스름한 숲속에서 어디론가 도망치는듯한 소녀의 뒷모습. 아무래도 불행과 비극의 복선들에 너무 익숙해진것 같다. 실종아동, 성착취 등등의 가능한 모든 불행한 상상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사라져버린 4명의 소녀이야기일것으로 상상해보다. 이름은 도대체 왜 전부 m 으로 시작하는건지. 어둠침침한 배경과 낯선 배우들의 연이은 등장으로 초반부터 팽팽한 긴장감이 돈다. 호수속에 덩그러니 놓여진 한 채의 집과 바람에 흔들리는 숲과 통나무 집. 시종일관 멀리서부터 서서히 줌인되는 촬영방식도 으스스하다. 마치 의 두 남자가 갑자기 튀어나와 "혹시 계란 있어요?" 하고 물어볼것같은 느낌. 왜 그 영..
Vilnius 09_빌니우스의 겨울 빌니우스에도 눈이 많이 내렸다 고개를 치켜들면 벌써부터 무시무시한 고드름이 달려있다. 자주 지나다니는 길들이 일방통행인곳이 많아서 보도블럭보다 차도로 걸어다니는게 더 나을정도이다. 두툼한 털 양말속에 바지를 집어넣고 묵직한 등산화를 신어야 그나마 녹아서 질퍽해진 눈 사이를 걸어갈 수 있을 정도인데 혹한과 폭설에 길들여진 유전자들이라 높은 겨울 부츠를 신고도 별 문제없이 잘 걸어다니는것 같다. 곳곳이 진흙탕 물인 거리를 마구 뛰어다녀도 종아리에 꾸정물 하나 안묻히던 인도인들의 유전자처럼 말이다.
<줄리 앤 줄리아 Julie and Julia> 노라 애프런 (2009) 영화를 볼때 내가 줄거리와 관계없이 가장 집중해서 보는것은 주인공이 먹는 음식이나 마시는 음료나 듣는 음악이나 주인공이 머무는 부엌의 모습 등이다. 하물며 이렇게 음식에 죽고 못사는 사람들의 치열한 이야기는 하루하루 무엇을 먹을지를 고민하고 무거운 식재료와 함께 힘들게 귀가해서 맛있게 먹어 줄 사람의 행복한 표정을 머릿속에 그리며 묵묵히 저녁을 준비하고 눈 깜짝 할 사이에 싱크대로 직행하는 빈 접시와 마주할 때 까지의 그 일련의 과정들이 단지 먹고 살기 위한 원초적 행위는 아니지 않겠느냐는데에 위안을 준다. 나름 전용 루프탑 레스토랑도 지닌 좋은 건물이지만 브룩클린이라는 지역은 아무도 살고 싶어 하지 않는 구역인가보다. 이삿짐을 바리바리 채워서 새로운 보금자리로 이사오는 줄리 부부. 줄리는 그저 이 새로..
<트랜스 시베리안 transsiberian> 브래드 앤더슨 (2008) 나는 겨울이 좋아 추운나라를 동경했고 시베리아 횡단열차는 겨울이 전부일것만같은 그 세상으로 나아가는 첫관문이었다. 달리는 열차 속 그 폐쇄된 공간 속에서 나는 내가 여행자로서 누려야 할 특권에 대해서 생각했다. 달려도 달려도 끝나지 않을것 같은 긴 여정속에서 내려야 할 순간을 떠올리며 여행의 목적을 되묻는것이 과연 의미있는것일까. 길을 잃지 않는것만으로도 이 여행은 충분히 가치있는것이 아닐까. 우리의 미래란것은 도착이라는 이름으로 새겨진 기차표속의 낯선 문자에 불과할 뿐 닫혀진 공간속에서의 나의 기록과 기억들은 기차에서 내리는 순간 사라져버릴 환영같았다. 극동의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일주일여의 시간을 들여 부지런히 달리면 9000킬로미터에 달하는 러시아 대륙을 가로지를 수 있다. 누군가 블라디보스톡이나 베이..
<내 아내의 모든것> 민규동 (2012) 꼭 요리를 주제로 한 영화가 아니더라도 이런 영화는 왠지 음식영화라는 장르로 분류해두고 싶다. 음식 셋팅에서부터 식기며 요리도구, 부엌 인테리어까지 구석구석 신경써서 촬영한게 티나는 그런 영화들말이다. 음식을 대하는 주인공들의 자세는 또 얼마나 야무지고 아기자기한지. 너무 금새스쳐지나가서 몇번이고 정지시켜놓고 천천히 살펴보고 싶었던 장면들이 많이 있었다. 요리장면이나 식사장면이 더 많았더라면 좋았겠다. 극의 흐름에 방해가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던걸까.깡마른 몸에 신경질적이고 예민한 정인은 그래도 요리를 할때만큼은 행복해보인다. 그렇게 완벽을 추구하고 까다로운 그이기에 그가 만드는 음식도 상대적으로 맛있어 보였던것은 아닐까. 하지만 정인의 인생은 매우 권태롭고 위태로워 보인다. 함께사는 삶의 내용은 변..
<양과자점 코안도르> 후카가와 요시히로 (2011) 를 보고나서 일부러 이 영화를 찾아보았다. 아오이 유우의 생김새는 그냥 예쁘거나 청순하다는 단어로 설명해버리기에는 좀 그렇고 뭐랄까. 그냥 너무 궁금한 얼굴이랄까. 마치 솜방망이로 달걀흰자를 고르게 발라놓은듯한 맨질맨질한 그녀의 얼굴은 그냥 계속 쳐다보면서 관찰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한다. 이 배우는 몇살이지? 과연 제대로 예쁘게 늙어갈 수 있을까? 부정적인 의미로든 긍정적인 의미로든 과연 어른이 될 수 있기는 한 배우인지 모르겠다. 뜬금없이 란 영화는 어떤 영화였을지 급 궁금해진다. 생각해보니 많은 영화들을 특별한 이유없이 무시하고 흘려보낸것 같다. 영화가 재미없으면 눈이라도 즐거울 수 있겠다 싶어 기대했는데 의외의 잔 재미도 없었다. 등장인물 캐릭터도 너무 정형화되어있고 대충 써놓은 시나리오에 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