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07)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투아니아어 65_나무 Medis 집근처의 나무 한 그루. 아마도 가장 가까운 곳에서 가장 처음으로 봄을 알려오는 신호이다. 설악산 대청봉에 내려 앉은 눈이 겨울을 알리고 내장산 정상에 올라간 어머니 아버지들이 헬리콥터를 향해 손을 흔들며 만추를 배웅하는 것처럼. 비록 다음날에는 전 날의 햇살이 무색한 비바람이 불어 황급히 코트 단추를 채우며 후드를 뒤집어 써야 했지만 발길에 저 꽃잎이 채이지 않는 것은 봄이 아직은 깊지 않았다는 소리겠지. 어른의 기준 어릴때 큰 고모댁에 가면 안방에 고모부 곁에 항상 있던 목침. 저렇게 딱딱한 것을 베고 테레비를 봐도 아프지 않으면 어른인가보다 생각했던 어린 시절. 오래 사용했는지 적절하게 패여진 목침이 언제나 그렇듯 버려진 밥상과 함께였다. 리투아니아어 64_샌드위치 Sumuštinis 수무쉬티니스. 이것은 아마 명실공히 리투아니아인들이 머릿속에 떠올릴 가장 흔한 샌드위치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겠다. 버터 위에 오이. 오이 위에 햄이다. 오이를 빼면 이것의 좀 더 투박한 버전이 될 것이고 이도 저도 다 사양하고 돼지비계만 얹는 빡쎈 버전도 있다. 물론 이런 식으로 만들어먹는 샌드위치의 종류야 무궁무진하겠지만. 커피와 농담 2 문을 연 빵집이 있어서 나폴레옹 한 덩어리를 사와서 커피를 끓였다. 커피를 섞고 달리 스푼을 놔둘 곳이 적당치 않을때 떠오르는 이야기가 있다. 10명의 사람이 차를 마시는데 그 중 러시아인이 누군지 알고 싶으면 바로 스푼을 담근 채로 차를 마시는 사람을 찾으면 된다는 이야기. 그런데 그 10명 중 아무도 스푼이 담긴 차를 마시지 않는데도 러시아인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단다. 바로 차를 마실때 한 쪽 눈을 찡긋하는 사람이 바로 러시아 사람이란다. 스푼을 꺼내지 않는게 습관이 되어서 없을때조차 반사적으로 눈을 감는다는 것이다. 자전거가 없어지면 폴란드인한테 먼저 물어보라는 이야기도 있다. 하나 둘 셋 혹은 넷의 우연이 굳어진 이야기일 수도 있고 이 손에서 저 손으로 옮겨다닌 나라에 함께 뿌리를 내린 여러.. 커피와 농담 이렇게도 따뜻한 3월에 추억해보는 가장 추웠던 어느해 3월. '야, 넌 외국에 친구보러 여행씩이나 와서 카페에서 커피씩이나 마시며 사과 컴퓨터로 일하며 돈버는 진정한 코스모폴리탄이구나' 같은 시덥지 않은 농담을 던지고 또 받아치는 와중에 마시던 커피. 그리고 난 그 앞에서 열심히 공부했다. 하지만 머릿속에 들어오는 것은 하나도 없었다. 친구는 열심히 일했을까. 없어진 카페 어떤 낯선 도시의 중앙역 근처 비스트로에나 어울릴법한, 흡사 서서 마시는 것이 더 편해보이는 키가 큰 탁자와 의자가 놓여져 있던 카페. 길게 난 창문으로 언덕 진 거리를 올라가는 사람들을 구경하며 그 불편한 의자에 앉아서 몇 번의 커피를 마셨었다. 카페들이 깡그리 문을 닫은 요즘, 바닥을 보이는 커피콩을 세어보며 없어진 카페와 가본 적 없는 카페들을 회상한다. 사라지는 것들을 그저 셀 수 있다는 것만큼 선정적인 것이 또 있을까. 드레스덴의 커피 유일한 커피들에 대해 늘 생각한다. 때로는 모든 커피를 기억할 수 있을 것만 같다. 잊어버리는 커피가 있다는 걸 잊는다는 전제하에서. 베를린이나 독일에 대한 생각은 원래도 자주 하는데 요새 들어 더 그렇게 되었다. 드레스덴은 또 폭격당한 도시의 이미지가 있어서인지 요즘 시국에 뭔가 더 어울리는 것도 같다. 이 커피는 드레스덴에서 만난 토끼님과 점심을 먹고 마셨던 두 잔의 커피인데. 카페 이름은 기억이 안난나. 그것은 알았지만 또 몰랐기도 했던 사람을 만났음으로 인한 흥분과 기쁨과 초조와 감동으로 인한 정신없음 때문이었을 거다. 이 카페는 혹시 클래식 공연이 열리는 극장 같은 곳에 딸려있던 구내카페였던가? 카페 내부의 사진이나 주문을 받는 중년 여성들에게서 뭔가 그런 느낌을 받았었는데 제대로 된 기억인지는.. Vilnius 112_3월의 눈 이른 아침에 내렸다가 정오의 햇살에 휘감겨 없었던 듯 사라졌던 3월 중순의 눈. 유난히 따뜻했던 겨울이 가까스로 도착한 봄의 존재도 덮어버렸다. 전쟁이 끝난 줄도 모르고 몇 십년 동안 동굴 같은 곳에 숨어 살았다는 일본인을 가끔 떠올린다. 물론 아주 오래 전에 신문이 집으로 배달되던 시절의 해외토픽에서 읽었던 이야기이다. 세상이 거대한 오랑시가 되어버린 요즘.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오해하는 편이 가장 쉬워보인다. 저 눈이 조금만 더 오래도록 내렸더라면. 누군가가 밟고 지나간 자취를 한 번 정도 덮어버릴 만큼만이라도.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 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