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vel (93) 썸네일형 리스트형 헬싱키의 첫 새벽 Helsinki_2006 3주간의 러시아 여행을 끝내고 뻬쩨르부르그에서 야간 버스를 타고 도착한 헬싱키. 나로써는 태어나서 처음으로 육로로 국경을 넘는 꽤나 의미있는 여행이었다. 경험해보지 못한 긴장감을 반영하듯 컴컴한 야간 버스 안에서 버스가 전복되는 악몽을 꾸었다. 뻬쩨르에서 헬싱키로의 여정은 지갑 속의 루블과 카페이카를 탈탈 털어내고 빳빳한 유로를 채워 넣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제 리투아니아에도 유로가 도입된지 3년째 접어들어 마치 오래 전 부터 써왔던 화폐처럼 익숙하지만 한때 유로는 참으로 생소하고도 멀게만 느껴지던 비싼 돈의 이미지로 가득했다. 게다가 유럽이라는 울타리 속의 첫 도시가, 북유럽이라니. (후에 코펜하겐이나 베르겐을 하루 이틀 여행하면서 헬싱키의 물가는 참으로 관대했구나 깨달.. 헝가리 에스테르곰의 성당 Esztergom_2006 부다페스트에 머무는 동안 반나절 여행으로 다녀왔던 또 다른 도시. 에스테르곰 (Esztergom). 내가 이 도시를 굳이 가려했던 이유는 명백하게도 이 도시의 명칭 때문이었다. 영화 '천국보다 낯선'의 여주인공 에바가 부다페스트에서 뉴욕으로 날아온다는 단 하나의 이유로 내가 헝가리의 부다페스트에 가고 싶어했던 것처럼. 심지어 아마존에서 헝가리어 교재까지 주문해서는 Jo napot kivanok (헝가리의 아침인사) 을 외치며 행복에 젖었던 시간들. 헝가리 이민자로서 뉴욕에 살고 있는 사촌오빠의 집에 느닷없이 찾아와서 정작 그는 별로 하고 싶어하지 않는 헝가리어를 눈치없이 내뱉는 에바와 동네 스넥바에서 일하면서 저녁이면 중국 영화를 보러가던 에바는 어린 나에게 커다란 인상을 남겼.. 헝가리 센텐드레의 체스 상자 부다페스트에 머무는 동안 반나절 여행으로 다녀온 센텐드레 (Szentendre). 옛 사진이나 들추어봐야 조금 생각이 날까 사실 그 하루의 일정은 잘 기억이 안난다. 부다페스트에서 주재중인 한국 중소기업의 직원 몇명을 어부의 요새에서 알게되어 당일치기 여행을 다녀왔다. 볕이 뜨거워서 그 날 특별히 꺼내 썼던 모자를 프랑크푸르트 공항에서 잃어버렸다는 것이 항상 첫번째로 떠오르고 그러다보면 주황색 지붕 가득히 쏟아지던 그날의 햇살과 마을까지 올라가면서 연거푸 들이키던 2리터까리 설탕 음료가 차례대로 생각난다. 유서 깊은 중세 마을이었겠지만 의상실에서 부랴부랴 민속 의상을 챙겨 입은 듯한 사람들이 호객에 열중하는 급조된 테마 파크 같았던 곳. 기념품 가게의 집요한 아우라를 떨쳐내지 못하고 둘줄도 모르는 체스를.. 홍콩 하늘 Hongkong_2016도심 속 인파에 휩싸여 올려다보는 비행기가 오히려 더 자연스럽다 느껴질 때. 승무원복을 입은 왕정문이 떠오를 때. 첵랍콕 공항에서 Hongkong_2016공항인데 비행기가 낯설 때. 홍콩에서 온 엽서 작년에 홍콩 여행 할 때 스스로에게 보냈던 엽서. 집을 비웠던 반년 동안 나의 집에 살아 줬던 친구가 실수로 짐 상자 속에 넣어서 가져 간 것을 며칠 전 슬며시 우체통에 다시 넣어주고 갔다. 친구가 얘기 해주지 않았으면 엽서를 보낸 사실 조차 그냥 잊고 지나갈 뻔했다. 어딘가로 여행을 가면 나처럼 엽서를 곧 잘 보내오던 친구였고 나도 그녀에게 그러곤 했는데 내 집에 살아 주고 있는 친구에게는 왜 엽서를 보내지 않았던걸까. 혹시 이 엽서를 발견하고 자신한테 온 것인줄 알고 기뻐했던것은 아닐까 살짝 미안해진다. 그나저나 내가 보내 온 엽서는 우체통이 가득한 엽서였다. 내가 사는 빌라 우체통도 이 우체통 만큼 허름했던 러시아 알파벳이 칠해진 것이었는데 서울에서 돌아와보니 벽 색깔도 우체통도 빌라 현관의 열쇠도.. 바르샤바의 휴일 아침 (Warsaw_2008)낯선곳에 휴일에 도착하는것 좋다. 일요일인 경우는 드물고 어쩌다보니 그 나라의 국경일, 공휴일인 경우가 더러 있다. 8월의 바르샤바. 휴가철이라 국기가 걸린집도 거의 없었다. 시에서 주관하는 행사에는 멀뚱멀뚱 여행객들만 한 가득 했다. 이탈리아였으면 오색찬란한 블라인드들이 건물을 뒤덮고 있었겠지만 그만큼 덥지도 않으니 황량하다. 휴일의 여행은 다큐멘터리 같다. 발걸음과 카메라 셔터 소리, 횡단보도 경보음을 나레이터로 삼고 잠 든 도시를 기록하는 것이다. 크라쿠프의 어떤 광고 (Krakow_2008)오래전 폴란드 여행은 아주 급조된 여행이었다. 휴가가 시작됐고 아무런 계획이 없던 상태에서 오전에 걸어다니다 그냥 폴란드에 다녀오자로 결론이 났고 책가방 하나를 꾸려 집을 나섰다. 집에 놔두면 썩어버릴것 같은 과일과 빵들도 에코백에 주섬주섬 챙겼다. 매일 밤 10시경에 폴란드로 떠나는 밤 버스가 빌니우스 중앙역앞에서 출발한다. 나는 그해로부터 딱 2년전에 똑같은 바르샤바행 버스표를 버린적이 있다. 급조된 여행이었음에도 꽤나 대담한 루트로 움직였다. 한 군데에 되도록이면 오래도록 머무는 기존의 여행 스타일을 생각하면 지금도 이해할 수 없는 여행이다. 긁어모을 판타지도 아무런 준비도 없이 떠난 여행은 또 그런대로 즐거웠다. 마치 도시와 점심 약속을 잡은듯 내려서는 도시와 밥을 먹고 커.. 이전 1 2 3 4 5 6 7 8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