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ffee

(106)
다른 창가의 커피 가끔 재택근무하는 친구의 점심시간에 맞춰 커피를 마시러 간다. 부엌 한 가득 오래 된 전동 커피밀 돌아가는 소리. 이어지던 대화가 잠시 중단되고 다 갈린 커피를 포트에 옮겨 담으며 언제나처럼 유서 깊은 전동밀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한다. 쉽게 망가지지 않는 것들이 주는 한 보따리의 이야기들. 그들이 만들어냈을 무수한 커피들. 제각기 다른 방식과 다른 배경의 커피. 때가 되면 자리를 떠야 하는 상황이 주는 미묘한 긴장감속에서 질척 밍그적거리지 않을 수 있는 짧은 시간 속의 상큼한 커피. 정해진 시간만큼의 단어들을 내뱉고 단어 사이사이의 시간을 부여잡고 열심히 홀짝인다.
미켈란젤로의 커피 요새 보고있는 드라마가 있는데 사실 너무 어이없이 재미없는 전개에 남은 두 에피소드를 시작 하지 못해 계속 끝내지 못하고 있는 드라마이다. 1950년 캔자스가 배경인데 이탈리아 마피아들이 나온다. 특히 매번 '우리 이탈리아에서는 말이지','너네 미국이란 나라는 말이지'라는 시작을 덧붙이는 꼴통 이탈리아인이 식당에 들어가 커피 한 모금을 마시더니 빗자루질 하는 종업원을 부른다. '우리 이탈리아에서는 돈 받고 빗자루질 하면 빗자루질 제대로 하거든? 내가 커피를 돈내고 마시는 건데 커피를 끓여오려면 미켈란젤로처럼 끓여오란 말이야!'. 그리고 종업원은 물론이고 바에서 떨떠름한 표정으로 구경하고 있던 주인까지 빵빵 쏴버린다. 나는 순간 겁에 질려서 내가 마시는 커피를 미켈란젤로처럼 끓이고 있는지 생각에 잠겼다. ..
눈 앞의 커피 네가지 종류의 치즈가 600그램이나 들어간다는 요리책 속의 치즈 파이를 옆에 두고 입맛을 다시며 커피 방울이 떨어지는 소리를 들었다. 생각해보면 커피가 그림의 떡인 순간은 별로 없는 것 같아 좋았다. 자이살메르의 사막에서도 칸첸중가 트렉킹에서도 인스턴트 커피 한 봉지 정도는 왠지 호주머니에 있을것만 같다.
어제와 오늘의 커피 모카로 커피를 만들고나면 다 추출되었다고 생각되는 순간에도 피식하면서 흘러나오는 한 두방울의 커피가 있다. 잔에 부으려고 기울이면 워낙에 작은 양이니 포트 입구까지 오는 동안 포트 내부에 긴 흔적만 남기고 결국 흘러나오지 못하는 한 방울의 커피. 커피바스켓 말고는 포트 자체를 잘 씻지 않게 되는 이유는 아마 그렇게 남겨진 커피를 결국 다음 커피와 함께 마신다는 이상한 생각때문인 것 같다.
박스 위의 커피 가끔 커피 마시는 곳. 아직 정리되지 않은 곳이지만 매 순간 미세하게 정리가 되고 있는 중이니 아쉬움과 즐거움이 공존한다. 이곳에는 지난번에 마시고 씻지 않은 커피 찌꺼기가 묻은 티스푼이나 액상 프림, 걸레 빤 물이 가득한 빠께쓰와 오래된 먼지와 남이 버린 책 같은 것들이 혼재한다. 그리고 20미터 거리에 빵집이 있다. 친구와 빵집에서 캐온 버섯과자에 커피를 마시며 전재산을 털어서 산 조그만 미니밴에서 새 출발을 해야 한다면 그곳에 뭘 집어넣을지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컵은 꼭 필요할 거다. 양치질도 하고 커피도 마시고.
커피에 연유 이 유리잔은 컵홀더가 따로 있는 소련시절 잔인데 차보다는 베트남식 커피를 내릴때 더 자주 쓰게 된다. 차가운 연유 위로 똑똑 떨어지는 커피 방울을 감상하기에 딱이기 때문이다. 숟가락으로 휘젓지 않는 이상 커피와 연유는 섞이지 않는다. 연유의 두께가 좀 도톰해야 커피의 모습이 예쁘다보니 이 커피는 항상 달아진다.
겨울의 에스프레소 토닉 열심히 분쇄한 원두로 에스프레소 한 잔을 추출하여 얼음도 채우지 않은 미지근한 토닉에 부어 마시는 느리고 시큰둥한 에스프레소 토닉.
명절의 커피 이것을 커피와 먹으면 얼마나 맛있을까 상상하며 열심히 요리하는 와중에 홀짝이는 커피는 정말 그 음식과 함께 먹는 커피만큼 맛있다. 어쩌면 더 맛있는지도 모르겠다. 뒤늦게 회상하는 크리스마스, 호떡 반죽이랑 너무 비슷해서 몇개는 설탕을 넣어야겠다 생각하다 무심코 반죽을 다 써버린 빵.